"휴머노이드, 기능과 가격의 균형이 상용화 결정"

엄윤설 에이로봇 대표, 6천만원대 가격·2028년 상용화 목표 제시

디지털경제입력 :2025/11/06 08:49

"드론 시장이 DJI 하나로 재편됐듯, 휴머노이드 시장도 '저가 공략'이 핵심 변수입니다. 대비하지 못하면 생존이 어렵습니다."

엄윤설 에이로봇 대표는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로봇심포지엄(ISR 2025)에서

휴머노이드 산업의 핵심 경쟁 요소로 '시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꼽았다.

엄 대표는 "고객은 로봇이 얼마나 똑똑한지보다 얼마나 자주 고장이 나고, 얼마나 저렴하며, 문제가 생겼을 때 얼마나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에 더 관심이 있다"면서 "결국 기능과 가격의 균형이 상용화를 결정짓는다"고 말했다.

엄윤설 에이로봇 대표가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로봇심포지엄'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엄 대표는 에이로봇에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앨리스 4'를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가격을 낮춘 현실적인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리스 4는 키 160cm, 무게 45.8kg, 총 41자유도(DoF) 를 갖춘 인간형 로봇이다. 자체 개발한 리니어·로터리 액추에이터를 적용해 원가를 이전 세대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낮췄다. 판매 목표가는 미화 4만7천 달러(약 6천800만원)이다.

그는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는 기술보다 시장과 비용의 문제"라며 "앨리스를 통해 2028년 산업 현장 투입이라는 구체적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엄 대표는 휴머노이드 보급이 단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먼저 제조업을 중심으로 2028년부터 본격 상용화가 시작되고, 2030년에는 건설·조선 분야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가정용 휴머노이드는 심리적 저항선이 높아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보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휴머노이드 시대는 이미 예고돼 있다. 그 시작은 제조 현장에서부터 열릴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