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정보개발원(이하 개발원)은 23일 오전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제4회 디지털 지역혁신 글로벌 포럼(Next Local AI: 지역혁신의 플랫폼 생태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AI와 데이터가 주도하는 지방행정의 혁신 모델과 글로벌 협력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발원과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이 공동 주최하고 행정안전부가 후원했다.
행사는 개발원 김석진 부원장 개회사와 미야사카 마나부 일본 도쿄도 부지사 축사, 게오르크 빌프리트 슈미트(Georg Wilfried Schmidt) 주한 독일대사 기조연설로 시작했다. 김 부원장은 개회사에서 “AI는 지역경제와 주민 삶을 변화시키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앞으로는 지자체 간 데이터 연계와 플랫폼 기반 협력이 지역혁신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야사카 부지사는 영상 축사를 통해 “하나의 데이터를 다양한 행정서비스에 연계‧활용하는 한국 전자정부 체계를 높이 평가하며, 한‧일 양국이 지속가능한 디지털 행정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슈미트 대사는 기조연설에서 AI를 통한 지방정부 혁신과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한‧독 양국의 디지털행정 협력강화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AI와 빅데이터 기반 지방행정서비스의 고도화’를 주제로 남태우 성균관대학교 교수와 정원중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팀장이 발표를 맡았다. 남 교수는 공공부문 AI 활용 현황과 정부 AI의 발전 방향을 살폈고, 정 팀장은 경기도의 AI 혁신 전략과 지역 산업‧행정 분야의 AI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이어진 좌담에서는 송석현 한국디지털정부학회장 사회로 임은영 LG CNS 사업단장과 찌아웨이쭈이(Jia Wei Cui) 대만 vTaiwan 프로젝트 매니저가 참여해 AI 기술이 행정 효율성과 시민 맞춤형 서비스를 어떻게 혁신할 수 있는지를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지방정부의 데이터 역량 강화와 민간기술 협업이 향후 행정혁신의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관련기사
- 우정인재개발원, 2025 우체국 문화전 최종 수상작 선정2025.10.22
- 엘앤에프, 왜관공장 '인재개발원'으로 탈바꿈2025.09.30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25년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2025.09.01
- 오픈AI '스타게이트' 韓 상륙…삼성·SK 'AI 동맹' 전격 합류2025.10.23
두 번째 세션에서는 ‘AI 플랫폼 거버넌스: 민관협력, 법·제도 혁신, 글로벌 동향’을 주제로 유산쩡(Yu Shan Tseng) 대만 Odditysay Labs 대표와 베네딕트 크리거(Benedikt Krieger) 독일 VDI/VDE 기술혁신연구소 기술 컨설턴트가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에서는 대만의 시민참여형 AI 플랫폼 운영 사례와 공공데이터 거버넌스 경험이 공유됐고, 독일 및 EU의 법제도 혁신 방향과 민관협력 모델이 소개됐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김태성 충북대학교 교수 진행 아래 이상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와 신준선 법무법인 청출 파트너 변호사가 참여해 공정하고 투명한 AI 플랫폼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과 공공데이터 거버넌스의 역할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