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가 케이팝데몬헌터스와 같은 인기작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치보다 부진한 3분기 실적을 내놨다. 브라질 세무 당국과 분쟁에 따라 일회성 비용이 급증했고 이에 따라 이익률이 낮아진 것이다. 이같은 실적에 넷플릭스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급락했다.
넷플릭스가 21일(현지시간) 발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17.2% 늘어난 115억1천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5.87 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28.2%다.
당초 시장 예상치는 매출 115억2천만 달러, EPS는 6.94 달러다.

이같은 실적에 넷플릭스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6% 이상 급락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2022년부터 이어진 브라질 세무 당국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분기 예상치 못한 약 6억1천900만달러의 비용을 지출한 탓에 이익률이 자체 전망치 31.5%를 하회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OTT 중도해지 제재 시끌…"소비자 보호" VS "체리피킹 우려"2025.10.17
- 넷플릭스, 내년부터 스포티파이 팟캐스트 제공한다2025.10.15
- OTT 독주 속 유료방송, ‘낡은 규제 족쇄’ 풀어야 산다2025.10.07
- "넷플릭스·티빙·유튜브 너무하네"…OTT 요금, 5년 새 최대 71% 올랐다2025.10.03
이어, “이 비용이 없었다면 3분기 영업이익률이 전망치를 넘어섰을 것”이라며 “우리는 이 사안이 향후 실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3분기 인기 콘텐츠로는 단연 역대 최고 시청 횟수를 기록한 케데헌이 꼽혔다. 또 ‘웬즈데이’ 시즌2와 한국 드라마 ‘폭군의 셰프’도 인기작에 이름을 올렸다. 4분기 기대작으로는 ‘기묘한이야기’ 최종 시즌, ‘프랑켄슈타인’, ‘흑백요리사’ 시즌2를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