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카콜라에 미국산 사탕수수를 사용한 신제품 출시를 압박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공급망 제약으로 인해 생산 확대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존 머피 코카콜라 최고재무책임자(CFO) 는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산 사탕수수로 만든 코카콜라를 시범적으로 출시하기 시작했지만, 미국 내 원료 공급량이 제한적이어서 단계적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머피 CFO는 현재 미국 내 사탕수수 생산량이 한정돼 있어 우선 올해 일부 지역에서 시범 출시를 시작하고, 점차 시장을 확대해 2026년까지 본격 판매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외신은 이번 발언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치적 압박과 현실적인 산업 구조의 간극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미국산 사탕수수를 사용한 코카콜라 신제품이 곧 공개될 것이라고 본인이 개설한 SNS 트루스 소셜을 통해 발표했으나, 코카콜라는 이후 올가을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라고만 밝힌 바 있다.
현재 코카콜라는 미국 내 제품의 감미료로 저렴한 고과당 옥수수시럽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멕시코에서 수입한 사탕수수를 사용한 제품의 경우 풍부한 단맛과 유리병 포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에 따르면, 미국산 사탕수수는 전체 설탕 공급량의 약 30%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사탕무와 수입 설탕으로 충당되고 있다. 머피 CFO는 유리병 생산 설비의 부족도 생산 확대의 또 다른 제약 요인이라며, 멕시코 제품의 인기 요인은 제품뿐 아니라 병 패키징에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왕 필요 없다"…美 샌프란 시민, 트럼프 맞서 대규모 시위2025.10.19
- "AI 안전 무시한다"…앤트로픽 CEO, 트럼프와 정면 충돌2025.09.19
- 코카콜라도 '사탕수수 설탕' 쓴다…신제품 출시 예고2025.07.23
- 삼성 '갤럭시 XR', 한·미 동시 출시...출고가 269만원2025.10.22
머피 CFO는 회사가 미국산 사탕수수를 사용한 제품에서도 동일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코카콜라는 올해 일부 지역 매장에서 한정 출시를 시작했으며,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단계적 출시 전략을 유지할 계획이다.
외신은 이번 사례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미국산 원료 사용 확대 정책이 산업 전반의 공급망 구조와 충돌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