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AI는 미래 산업 핵심…2030년 중반 이후 성장 궤도 진입"

[AI 페스타 2025] 엔비디아 중심으로 피지컬 AI 생태계 확장 중

디지털경제입력 :2025/10/02 14:26    수정: 2025/10/02 15:40

"피지컬 AI 산업에서 GPU부터 시뮬레이션 플랫폼, 파운데이션 모델에 이르는 통합 생태계를 운영하고 있는 플레이어는 엔비디아가 유일하다. 이에 수많은 완성차 및 로보틱스 기업들이 엔비디아 생태계에 참여하고 있다. 오는 2030년 중반에는 피지컬 AI가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김정연 PwC 파트너는 지난 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규모 인공지능(AI) 페스티벌 'AI 페스타 2025'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정연 PwC 파트너가 'AI 페스타 2025'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지디넷코리아)

이날 'AI in the Physical World - 현실을 움직이는 인공지능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김 파트너는 피지컬 AI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피지컬 AI는 로봇이 실제 물리적 환경을 인식하고, 수집된 정보를 스스로 판단해 복잡한 행동을 수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AI 산업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우리는 처리와 추론, 계획과 행동이 가능한 피지컬 AI의 시대로 들어서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파트너는 엔비디아가 기존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통해 피지컬 AI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엔비디아는 딥러닝에 최적화된 GPU와 관련 생태계를 피지컬 AI 산업으로 확장하고, 기존 보유한 핵심 자산을 유기적으로 연결했다"며 "GPU와 쿠다(CUDA)를 포함하는 반도체에서부터 옴니버스와 코스모스, 그루트 등 피지컬 AI를 포괄하는 기술들을 하나의 풀 스택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옴니버스는 현실의 물리적 환경을 디지털 환경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다. 코스모스는 옴니버스에서 재현된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피지컬 AI 모델을 훈련할 수 있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한다. 나아가 그루트는 옴니버스와 코스모스에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로봇이 실제로 작동할 수 있는 기초 모델을 만든다.

이처럼 엔비디아가 피지컬 AI에서 폭넓은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수많은 완성차 OEM 및 로보틱스 기업들이 엔비디아 생태계에 뛰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국가들도 엔비디아의 오픈소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 파트너는 "피지컬 AI는 활용 사례가 꾸준히 축적돼 2030년 중반 이후에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산업 전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기존 소프트웨어 기반의 수익 모델을 넘어 자동차, 로봇 등 하드웨어 분야에서도 새로운 경제적 가치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고령화로 생산 인구 감소가 지속 감소하는 상황을 해결할 핵심 기술로 피지컬 AI가 정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