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인도법인이 오는 14일 상장한다. 조달할 자금은 최대 1조8천억원으로, LG전자는 이를 성장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로부터 인도법인의 상장을 최종적으로 승인받아 지분 15% 처분 금액 및 예정 일자를 1일 공시했다.

주당 공모가는 1천80루피~1천140루피(약 1만7천~1만8천원)다. 공모가 상단 기준 LG전자가 마련할 자금은 약 1조8천350억원이다.
이 경우 LG전자 인도법인의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2조원이 된다. 인도 증시에 상장된 월풀 인도법인(약 2조4천억원)과 볼타스(약 7조2천억원) 등 비교기업 대비 높은 수준이다. 한국 증시에 상장된 본사 시가총액과 비슷하다.
LG전자 인도법인은 LG전자의 100% 자회사다. 이번 공모는 신주발행 없이 기존 주주인 LG전자의 구주매출로만 이뤄진다.
LG전자는 이번에 본사로 유입되는 대금을 인수·합병(M&A) 등 미래 성장 투자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선택과 집중' 기조에 따라 기업 간 거래(B2B)를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는 만큼 이 분야에서 투자처를 물색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울러 일부 자금은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에도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LG전자, 인도법인 지분 15% 처분 이사회 결의...상장 속도2025.09.30
- LG전자 인도법인, 1분기 매출 1.2조원 '역대 최대'2025.05.15
- LG전자, 인도 스리시티에 3번째 가전공장 착공…8천억원 투자2025.05.08
- [컨콜] LG전자 "인도법인 IPO 서두르지 않아…시점 검토 중"2025.04.24
인도는 14억명 인구와 높은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이다. 주요 가전 보급률은 냉장고 40%, 세탁기 20%, 에어컨 10%로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
LG전자는 1997년 인도 시장에 처음 진출한 뒤 현지 완결형 사업 체제를 구축했다. 현재 인도에 2개 생산기지와 51개 지역 사무소, 780여개 브랜드 숍을 운영하고 있다. 남부 스리시티에는 기존 노이다, 푸네 공장에 이은 세 번째 생산기지도 구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