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계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를 이끌어온 김병주 회장이 최근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등과 관련해 국회 증인 출석 요구를 받고 있다. 관련 현안이 이어지면서 김 회장과 MBK 책임 범위를 둘러싼 논의가 확산하는 분위기다.
MBK는 과거 홈플러스 인수 이후 점포 매각과 인력 조정으로 비판을 받았고, 지난해에는 홈플러스 법정관리 신청 과정 전반을 두고 논란이 제기됐다. 최근에는 롯데카드 고객 정보 유출 사태가 발생해 금융당국이 대응에 나선 상태다.
MBK는 홈플러스에 2천억원을 추가 출자해 총 5천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국정감사 등 정치 일정과 맞물린 조치라는 해석도 있으나, 이번 결정의 배경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정치권에서는 홈플러스 사안과 롯데카드 유출 사태 경위를 확인하기 위해 김병주 회장을 공정거래위원회·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하는 방안을 논의해 왔다. 김 회장은 지난 3월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는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참했고, 이달 24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 출석 요청에도 응하지 않았다.
김 회장은 고려아연 적대적 인수·합병(M&A) 과정에서는 '지배구조와 주주가치 개선'을 언급하며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또 지난해 말 서울 서대문구에서 열린 김병주 도서관 착공 행사에도 참석했다. 이 같은 행보가 국회와 언론 앞에서는 ‘불참’을 택하는 태도와 대비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김 회장이 MBK라는 이름 자체를 자신의 영어 이름 ‘마이클 병주 킴’에서 따온 만큼 성과뿐 아니라 책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김 회장은 '개별 기업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국회 부름에는 불응하고 있다.
관련기사
- MBK 김병주 회장, 롯데카드 해킹 청문회 증인 채택…출석 여부 주목2025.09.23
- MBK, 홈플러스 사태 사과…2천억원 추가 투입2025.09.24
- 롯데카드 보안투자 두고 MBK vs 금감원 공방2025.09.23
- 홈플러스 이어 롯데카드 논란…최대 주주 MBK로 쏠린 눈2025.09.20
정치권에서는 오는 10월 열리는 국정감사에 김병주 회장이 직접 출석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유통 업계에서 잇따른 대형 사건이 발생한 만큼 대주주의 책임을 명확히 따져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업계에서는 사모펀드 대주주의 책임 범위와 경영 관여 정도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린다. 인수 기업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투자자의 책임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는 주장과, 운용사와 피인수기업의 경영 책임을 구분해야 한다는 반론이 병존한다. 오는 10월 국정감사 과정에서 관련 쟁점이 추가로 다뤄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