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대표 김동철)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사회보장정보원(원장 김현준)과 ‘AI·전력데이터 활용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전이 보유한 전력사용 데이터와 AI 분석기술을 사회보장정보원의 사회보장정보 47종과 연계해 사회적 고립과 위험에 처한 취약계층을 사전에 발굴하고 지원하는 새로운 방식의 ‘선제적 위기가구 발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기획됐다.

한전이 AI로 가구별 전력사용 패턴을 분석해 평소와 다른 이상 징후를 포착하고, 이 정보를 사회보장정보원이 기존 47종 사회보장정보와 통합 분석해 고독사 등 복지 위기 가능성이 높은 가구를 선별한다. 이를 통해 지자체는 위기가구에 신속한 복지 대응과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선별 가구는 한전이 운영 중인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와 연계해 상시적인 돌봄 체계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관련기사
- 한전-LG유플러스, AI와 데이터로 생명을 구하는 시대 연다2025.07.13
- 복지로, 복지멤버십 가입자 안내서비스 128종으로 확대2024.12.16
- 한전, 독일 MR과 전력설비 예방진단솔루션 공동 사업화…글로벌시장 동반 진출2025.09.08
- 한전, APEC 장관회의에서 ‘글로벌 DC 이니셔티브’ 제안2025.08.31
한전은 그동안 전력·통신·수도 데이터를 활용한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를 시행해 지금까지 15명의 생명을 구했으며, 성과를 인정받아 정부의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에 반영된 바 있다. 이번 협약으로 서비스대상이 지자체에서 전국 단위로 확산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은 “전력 데이터는 국민 삶과 가장 가까운 정직한 신호”라며 “이번 협약은 한전의 AI 기술이 국정 철학과 만나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핵심 인프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앞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적 가치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