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 "금융 조직, 미래지향적으로 개편…공직자라면 따라야"

취임식 후 8개 금융지주사 회장 간담회

금융입력 :2025/09/15 15:50    수정: 2025/09/15 16:41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취임 이후 조직개편은 어쩔 수 없으며, 개편 방향은 미래 지향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위원장 취임식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우리 조직이 마주하고 있는 현실은 설렘과 미래만을 이야기하기에는 안타까운 상황"이라면서 "공직자로서 국가적으로 최종 결정이 내려지면 정해진 결정에 따라야 하는 것도 우리의 책무"라고 말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인사청문회 당시 조직개편이 나온 이후 필요한 때 자신의 의견을 적극 개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국회 정무위원들은 '금융위 철거반장'이 아니냐며, 조직개편에 대한 생각을 질의한 바 있다.

15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8개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스1)

취임식 이후에도 조직개편이 이뤄져야 한다는 이억원 금융위원장의 입장이 이어졌다. 이날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8개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에서 이 원장은 "금융산업 뿐만 아니라, 금융당국도 18년만의 큰 방향 전환을 앞두고 있다"며 "이번 감독체계 개편이 과거 회귀가 아니라 정책은 보다 정책답게 감독은 보다 감독답게 기능하고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의 상충을 을해소하는 미래지향적 개편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정부는 지난 7일 고위 당정협의를 거쳐 금융위가 갖고 있던 금융 정책 기능과 금융정보분석원을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금융위 직원들은 조직개편안으로 당장 세종에 있는 기획재정부로 내려가야 한다는 어려움을 토로했다. 

또 개편안에 포함된 금융감독원을 공공기관으로 전환하고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원으로 격상해 독립·신설하는 안건이 금감원의 반발을 사고 있다. 

관련기사

금융과 관련한 부처가 네 개로 늘어남에 따라 금융사들은 과도한 규제를 우려하고 있는 상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서 "현행 통합형 감독체계에서 벗어나 정책과 감독이 분리되고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 보호를 전담 감독기관이 맡는새로운 체계로 개편될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금융회사와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하겠다"고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