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티벌이 유통업계의 마케팅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브랜드 콘셉트와 맞는 행사에 참여해 소비자와의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하고, 현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경험 마케팅’이 핵심 전략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단순 노출을 넘어 소비자 경험을 통해 쌓은 브랜드 인식을 자연스럽게 매출로 연결하려는 시도다.
가장 적극적인 업종은 주류업계, 특히 맥주 시장이다. 브랜드별 콘셉트에 맞는 페스트벌과 협업하며 브랜드 인지도 높이기에 나서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12일부터 14일까지 열리는 ‘2025 마곡 MCT 페스티벌’에서 ‘테라 로드 비어 페스티벌’을 연다.

‘테라 생맥주’를 즐길 수 있는 시음 부스는 물론 포토존과 참여형 이벤트를 운영하며 소비자 체류 시간을 늘리는 전략이다. 하이트진로는 ‘2025 마곡 MCT 페스티벌’이 열리는 3일 내내 테라 맥주 부스와 이벤트 부스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테라 라이트’는 러닝 페스티벌과 연계해 ‘운동 후 부담 없는 맥주’라는 메시지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 3월 ‘2025 서울마라톤’을 시작으로 ▲2025 MBN 선셋마라톤 in 영종(4월) ▲무한도전 런 위드 쿠팡플레이(5·8월) ▲나이트레이스 인 부산(7월) ▲마블런 서울 2025(9월) 등에 공식 협찬사로 이름을 올렸다.
오비맥주는 자체 뮤직 페스티벌인 ‘카스쿨 페스티벌’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늘리고 있다. 지난 2023년 시작된 카스쿨은 첫해 약 1만명이 다녀갔고 지난해 1만5천명, 올해 2만여명 등으로 매년 관람객이 늘어나고 있다.
후발 주자인 롯데칠성음료의 크러시는 야구장·축구장·워터파크 등 이색 공간을 중심으로 마케팅을 펼치며 차별화에 집중하고 있다.
롯데그룹 계열 프로야구단 롯데자이언츠가 진행하는 ‘팬사랑 페스티벌’에 참여했고 프로축구단 FC서울 홈경기에서 ‘크러시데이’를 열기도 했다. 또 용인 캐리비안 베이에서 ‘크러시 페스티벌’을 진행했다.

최근에는 새로운 형태의 경험 마케팅도 등장했다. 뷰티 브랜드 러쉬코리아는 지난 6월 열린 ‘DMZ 피스트레인 뮤직 페스티벌 2025’에서 페스티벌 현장 화장실을 향기롭게 조성하는 ‘프레쉬 워시룸’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현장 화장실을 러쉬의 대표 향인 ▲카마 ▲그래스 ▲슬리피 ▲더티를 테마로 꾸몄고 해당 향에 샤워 젤, 비누, 향수 등을 비치했다. 또 ‘애프터 샤워 바’를 함께 운영해 글리터 미스트, 보디 스프레이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 AI 시대 인재·성장·협업 모든 것 'HR테크 리더스 데이 4' 열린다2025.09.11
- 잘 나가는 K소주에 찬물 끼얹는 저가 유사품...대책은?2025.08.22
- "무알콜 맥주, 왜 식당서 안 팔지?"…이유 찾아보니2025.08.05
- Z세대 술 안 마시는데…롯데칠성 전략 실패 어쩌나2025.05.23
해당 프로젝트는 큰 호응을 얻으며 지난달 열린 ‘2025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서도 선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즉각적인 수치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직접 경험하면서 인지도를 높이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며 “브랜드마다 콘셉트에 맞는 페스티벌과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