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술 안 마시는데…롯데칠성 전략 실패 어쩌나

카스·테라에 밀리고 라이트 맥주 추격 거세

유통입력 :2025/05/23 16:59    수정: 2025/05/23 17:15

롯데칠성음료가 맥주 시장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최근 라이트 맥주 인기가 높아지면서 시장 점유율도 이들에게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롯데칠성음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2.8% 줄어든 9천103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1.9% 감소한 250억원으로 나타났다.

주류 부문의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1천9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줄었다. 특히 맥주 부문이 부진했다. 1분기 맥주 매출은 1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2% 급감했다. ▲소주(-5%) ▲청주(-10.7%) ▲와인(-6.6%) ▲스피리츠(-26%) ▲RTD(-12%) 등도 모두 매출이 하락했다.

크러시 광고 모델 카리나. (사진=롯데칠성음료)

오비맥주의 카스와 하이트진로의 테라 등이 시장 점유율 상위권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와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맥주 가정용 시장의 시장 점유율 1위는 오비맥주의 ‘카스 프레시’가 차지했다. 카스 프레시의 점유율은 약 48%로 전년 동기 대비 4.3%포인트 상승했다. 2위는 하이트진로의 ‘테라’였다. 크러시의 1분기 시장 점유율은 5%를 밑도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칠성음료가 지난 2023년 11월 출시한 맥주 브랜드 ‘크러시’의 시장 안착을 위해 광고비를 늘리고 있음에도 1, 2위의 아성을 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1분기 롯데칠성음료의 광고선전비는 259억원으로 크러시 출시 전인 2023년 1분기(242억원) 대비 7% 증가했다.

올해에도 이와 비슷한 수준의 판관비를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교보증권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1분기 실적 발표 후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맥주 사업은 가장 고민이 많은 영역으로 시장 주도 업체는 오비·하이트이며 당사 브랜드력은 약화된 상태”라며 “드라마틱한 반등을 위해 충분한 광고판매비 투자가 필요하지만, 올해는 경영 환경이 좋지 않아 제한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롯데칠성음료의 크러시가 4세대 맥주를 표방하며 젊은 고객들을 타깃층으로 삼은 것도 우려 요소로 꼽는다. 

최근 Z세대를 중심으로 ‘소버(Sober, 술에 취하지 않은) 라이프’ 문화가 확산하고 있지만, 크러시는 라이트 맥주 라인이 없기 때문이다. 소버는 금주하거나, 취하지 않을 정도로 소량의 알코올만 섭취를 하는 음주 방식을 뜻한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1천8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다’는 응답이 31%로 가장 높았고 ‘거의 마시지 않는다(25%)’, ‘월 1~2회 마신다(23%)’ 순으로 나타났다. 음주 정도에 대해서는 ‘보통(취했지만 의식이 또렷한 상태)’으로 마신다는 응답이 41%로 가장 많았고 ‘조금(살짝 취기가 오른 상태)’이 34%로 뒤를 이었다. ‘많이(기억이 희미해질 정도’ 마신다는 응답은 6%에 그쳤다.

관련기사

실제 알코올 도수와 열량이 일반 맥주 대비 낮은 ‘라이트’ 맥주의 점유율은 상승하고 있다. 오비맥주가 지난 2010년 선보인 ‘카스 라이트’의 1분기 시장 점유율은 4.9%로 전체 3위에 올랐다. 지난해 6위에 그쳤지만 3단계 오른 셈이다. 하이트진로가 지난해 6월 출시한 테라 라이트의 1분기 시장 점유율은 2.8%로 7위에 올랐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아직은 5도 맥주가 메인인 시장으로 이 시장에서 자리를 잡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라이트 맥주의 상승폭이 최근에 크더라도 일반 맥주 시장에서 성과를 먼저 내고 그 이후에 확대를 고민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