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간 美서 날아다니는 곤충 72% 사라졌다

인간 영향 거의 없는 지역서 연 평균 6.6%% 감소

과학입력 :2025/09/09 16:08    수정: 2025/09/09 16:18

사람의 인적이 드문 미국 콜로라도의 초원에서 날아다니는 곤충 개체 수가 지난 20년 만에 70% 이상 급감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과학전문매체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이 최근 보도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캠퍼스 연구진은 지난 2004년부터 2024년 사이 15번의 여름 동안 미국 콜로라도의 외딴 지역 곤충 개체 수를 추적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이콜로지(Ecology)’에 발표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키스 소크먼 교수가 지난 20년간 미 콜로라도 초원의 곤충 개체 수 변화를 연구했다. (사진=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채플힐 캠퍼스 키스 소크먼 교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생물학과 키스 소크먼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콜로라도주 몰라스 패스에서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이 곳은 해발 3천200m 고도에 위치한 15헥타르(ha) 규모의 아고산대 초원으로, 콜로라도 최대의 자연보호 구역에 인접해 있어 인간의 영향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인간의 직접적인 영향이 최소화된 이 곳에서 곤충에 주목했다. 곤충은 "영양소 순환과 수분과 같은 생태적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환경 변화에 취약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 위기에 독특하고도 불운한 위치에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전 세계 곤충 연구에서 중요한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곤충 개체 수 감소와 관련된 연구 대부분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변화된 서식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 이번처럼 원시 지역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사진=픽사베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연구진은 초원 곳곳 고정된 위치에 트랩 6개를 설치해 15번의 여름 동안 곤충을 매주 채집했다. 주로 이 곳에서는 파리목(Diptera)과 노린재목(Hemiptera) 곤충이 잡혔다. 또, 연구진은 38년 간의 인근 기상 자료를 활용해 곤충 개체 수와 기후 영향을 평가했다.

그 결과 곤충 개체 수는 지난 20년간 72.4% 감소했으며, 연평균 6.6%라는 놀라운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런 개체 수 감소는 여름철 기온 상승과 관련이 있었다. 또, 연구진들은 정보 이론적 접근법을 통해 개체 수 감소에 이전 해 여름 기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여름철 기온이 높았던 해의 다음해에 곤충의 개체 수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이번 연구 결과는 기후 변화로 인한 곤충 개체 수의 감소는 인간과 멀리 떨어진 외딴 생태계조차도 예외는 아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 곤충 개체 수의 극적인 감소는 생물다양성 위기의 전 세계적 규모를 보여주며, 포괄적인 모니터링 및 보존 노력의 시급성을 강조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