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린텍, 우주의약 연구 모듈 발사 성공

스페이스X 통해 우주정거장서 약물 연구

헬스케어입력 :2025/09/09 10:15

스페이스린텍이 개발한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이 지난달 25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이후 현재 미세중력 환경에서 우주의약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BEE-PC1’은 8월 24일 오전 2시45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SpaceX의 33번째 상업 보급 서비스 미션(CRS-33)을 통해 발사됐다. ISS에서 가동 중인 BEE-PC1은 자동화된 우주의약 연구 플랫폼으로, 현재 단백질 결정 성장 과정을 수행 중이다.

ISS에서 스페이스린텍의 BEE-PC1을 들고 있는 NASA 우주비행사 마이클 핀케의 모습. (사진=스페이스린텍)

앞으로 약 4개월간 진행될 BEE-PC1의 ISS 실험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와의 협력을 통해 분석이 이뤄진다. 차세대 폐암 치료제 개발의 핵심 자료로 활용될 예정.

스페이스린텍은 우주항공청(KASA)의 누리호 4차·5차 탑재, 국제 협력 네트워킹 참여 기회 제공 등 지원 사업을 수행한 바 있다. 우주항공청이 출자한 ‘컴퍼니케이 뉴스페이스 펀드’의 투자도 받았다.

또 회사는 지난해 11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의 ‘의료 난제 극복 우주의학 혁신의료기술개발(I-BTS-UP 임무)’ 과제에 주관기업으로 선정돼 미세중력 환경을 활용하는 신약 연구개발 및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윤학순 대표는 “미세중력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과학적 성과들이 향후 암, 치매 등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서의 한계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제공할 것”이라며 “국내 제약사들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프리 맨버 보이저 테크놀로지스 국제우주정거장 담당 사장은 “보이저의 우주정거장 연구 플랫폼 인프라를 활용한 BEE-PC1 모듈의 우주 입성을 환영한다”라며 “스페이스린텍 같은 혁신적인 기업들과 함께 의학과 기술 발전을 추진하고, 지구상의 난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보이저의 목표”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