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승부수 ‘트레이더스’, 불황 속 효자였네

지난해 점포당 매출, 이마트 앞질러…의정부·청주에도 출점 검토

생활/문화입력 :2025/09/04 16:21    수정: 2025/09/04 16:29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야심작이던 창고형 할인마트 ‘트레이더스’가 그룹 내 효자로 자리매김했다. 높은 수익성을 보이며 출점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어서다. 여기에 그룹 본업인 이마트를 넘는 성장 속도를 보이면서 그룹의 주요 경쟁력으로 떠올랐다는 평가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오는 5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에 트레이더스를 개점한다. 총 4천670평(1만5천438㎡) 규모로 트레이더스 점포 중 최대 규모다. 2천900평(9천586㎡)과 테넌트(입점 매장) 공간 약 1천770평(5천851㎡)이 결합됐다.

1년마다 약 1.6개 점포 개점…상반기 영업익도 성장세

트레이더스는 지난 2010년 11월 1호점인 구성점을 시작으로 현재 23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이번에 개점하는 구월점이 24번째 점포다. 단순 계산하면 1년마다 약 1.6개의 점포 문을 연 셈이다. 초기에는 ‘이마트 트레이더스’라는 이름으로 선보였지만, 2022년 10월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으로 이름을 바꿨다.

트레이더스 마곡 오픈 첫 날 방문객의 모습. (제공=이마트)

트레이더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924억원으로 전년 동기(581억원)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할인점인 이마트가 199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것과 비교하면 효자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레이더스 매출은 2015년 9천534억원에서 ▲2016년 1조1천957억원 ▲2017년 1조5천214억원 ▲2018년 1조9천100억원 등을 기록하다 2019년 2조3천371억원으로 2조원을 넘어섰고 2021년 3조3천150억원으로 3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매출은 3조5천495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에도 트레이더스 매출은 1조8천6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7.5% 늘어난 732억원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할인점(이마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 줄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점포당 매출 기준으로는 할인점을 크게 앞서고 있다. 지난해 기준 트레이더스의 점포당 매출은 1천613억원으로 이마트(890억원)를 앞질렀다.

이 같은 트레이더스의 성장은 국내 대형마트가 정체를 겪고 있는 것과 반대되는 모습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대형마트의 전년 동월 대비 매출 성장률은 –1.1%로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대형마트 점포 수 역시 상반기 기준 371곳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 감소했다. 점포당 매출도 1.7% 줄었다.

시장에서는 최근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합리적인 소비 채널로 트레이더스가 떠오른 것을 실적 호조의 배경으로 꼽았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 대형마트가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지만, 트레이더스를 중심으로 한 창고형 할인마트는 성장하고 있다”며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 높은 대용량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진 영향”이라고 말했다.

의정부·청주 신규 출점 검토 중

트레이더스 구월점. (제공=이마트)

이마트는 주요 성장 동력으로 트레이더스를 낙점하고 출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마곡점과 구월점 등 총 두 곳이 문을 열었고 경기 의정부와 충북 청주에도 신규 출점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부 트레이더스 출점을 위해 이마트는 지난 3월 의정부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의정부점은 복합문화융합단지 내 7만3천㎡에 들어서며 내년 하반기 개점 예정이다.

이마트는 또 지난 4월 25일 에스피청주 일반사모부동산투자회사에 보통주 943만6천946주를 출자했다고 공시했다. 출자 목적은 트레이더스, 몰 복합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집객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기존에 보유했던 충북 청주 청주테크노폴리스 내 L2블럭을 에스피청주에 양도했다. 양도가액은 328억2천600만원이다.

관련기사

증권가에서도 이마트 성장의 주요 축으로 트레이더스를 지목하고 있다.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가성비 소비 확산 및 신규점 출점 효과에 따라 트레이더스 매출액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 하반기 이익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