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촬영, 암 유발할까…美서 열띤 공방, 결론은?

연구진 "CT 검사 남용해선 안돼"

헬스케어입력 :2025/08/27 15:17    수정: 2025/08/27 15:17

최근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 건수가 늘어나면서 일부 과학자들이 저선량 방사선 노출이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얼랏이 최근 보도했다.

지난 4월 ‘JAMA 내과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미국·영국 연구진들은 근거 없는 검사로 인해 상당수의 사람들이 불필요한 방사선에 노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에서 매년 시행되는 CT 검사 건수는 2007년 이후 30% 이상 증가한 상태다.

연구진들은 CT 촬영 시 발생하는 저선량 방사선이 미국에서 진단되는 신규 암 진단 사례의 최대 5%를 차지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또, 2023년 1년 간 시행된 CT 촬영으로 인해 향후 약 10만 3천 건의 암 발생이 추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무분별한 CT 촬영이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연구 결과대로라면, CT 촬영의 위험은 알코올 소비 등 다른 주요 암 발생 위험 요인과 비슷한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전문가들은 다만 개인이 CT 촬영으로 인해 암에 걸릴 위험은 이론적으로 매우 낮다고 강조한다. 따라서 의료적으로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주저하지 말고 검사를 받아야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레베카 스미스-바인드먼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진은 "CT는 종종 생명을 구하지만, 잠재적인 위험성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 CT 사용이 엄청나게 많은 것을 고려하면, 미래에 상당수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물론 실제 방사선 노출은 CT 장비의 종류, 검사 시간, 환자의 크기, 표적 신체 부위의 민감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어린이나 청소년 등이 저선량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다른 사람들보다 암에 더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1세 미만에 CT 검사를 받은 사람들은 갑상선암에 걸릴 위험이 더 높았고, 이는 여성 환자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 의료 방사선 전문가 프라딥 뎁은 "호주 연구에서도 CT 방사선량으로 인한 전반적인 암 위험 추정치가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다"며,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는 검사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불필요한 CT 검사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호주 의료 영상·방사선 치료 학회 회장 나오미 깁슨도 "이번 연구 결과는 장기적인 방사선 노출에 대한 경계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임상적으로 정당한 이유가 있을 경우 CT 영상 촬영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