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제2마스가’ 될까…회의론도 부상

"SMR 경제성 증명 안돼…재생에너지와 경쟁서 이겨야"

디지털경제입력 :2025/08/26 07:00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미국 원자력 발전소 구축 관련 협력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원전 산업이 ‘제2의 마스가’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감도 나타나고 있다. 상호관세 협상에서 양국이 마스가 프로젝트를 통해 1천500억 달러(약 208조원) 규모 한미 조선업 협력을 약속한 것처럼, 우리나라 원전 산업도 미국에서 대규모 사업에 참여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최근 한국수력원자력이 미국 원전 설계 기술 기업인 웨스팅하우스와 합작사를 설립해 글로벌 원전 시장에 공동 진출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런 기대감에 더욱 불을 지피고 있다.

반면 이런 장밋빛 미래를 확신하긴 어렵다는 회의론도 나타난다. 그 동안 미국이 지속적으로 원전 발전 확대를 추진했지만 성과가 더뎠고, 차세대 기술로 관심을 받는 소형모듈원전(SMR)은 경제성 등 상용화 가능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아 여전히 기술 투자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체코 두코바니 원전이 냉각탑으로 수증기를 뿜어내고 있다.

26일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진행된 가운데, 원전 산업 협력 가능성을 두고 이같은 전망이 제기됐다.

이번 정상회담에 동행한 우리나라 재계 총수 15명 중에는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도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기업 뉴스케일파워, 테라파워, 엑스에너지 등 미국 SMR 기업과 협력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과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도 이번 정상회담에 며칠 앞서 미국에 도착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원자력 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100GW에서 400GW로 확대한다는 목표 하에 대규모 원전 건설을 희망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이번 회담을 계기로 원전 시공 역량을 탄탄히 쌓아온 우리나라 기업에 사업 참여 기회가 돌아올 것이란 기대가 있다.

지난 5월 트럼프 대통령은 수 년이 소요되던 신규 원전 설립 허가 절차를 18개월 이내에 결정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 원전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기도 했다. SMR 발전소의 경우 오는 2030년까지 최소 10기 이상을 신규 건설하겠다는 목표다.

대국민 담화 발표 중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백악관 유튜브)

그러나 그 동안 미국 정부가 초당적으로 노력해왔음에도 원전 설립 프로젝트 다수가 계획보다 일정이 지연되고, 예산도 크게 초과되면서 좌초된 점을 고려하면 보수적으로 시장을 전망해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원전과 경쟁 상대인 재생에너지는 경제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단점으로 꼽히는 간헐성도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로 보완하면서 원전의 매력도가 떨어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1일 ‘원전 르네상스는 없다’ 보고서에서 “오바마가 르네상스 정책을 추진한 후 글로벌 전역에서 계획 중인 원전의 규모가 2014년 199GW까지 증가했지만, 지난해 기준 87GW로 2008년의 109GW 대비 줄어들었다”고 짚었다.

이어 “트럼프 정부는 다시 원전 르네상스를 외치고 있지만, 과거 대비 원전의 펀더멘탈은 더 악화된 상황”이라며 재생에너지의 발전 원가가 급락하면서 대형 원전 대비 30~40%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 연구원은 “BNEF는 2035년까지 미국의 운영 원전 용량이 현재 대비 9GW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이 중 대부분이 해체나 건설 중단됐던 원전들이 재가동되는 사례로 신규 시장이 열리는 것이 아니다”라며 "SMR은 대형 원전 대비 발전 원가가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성장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SMR의 경우 관련 프로젝트 협약 규모는 약 32GW이지만, 계약이 확정된 건은 없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경제성 문제 해결 없인 SMR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원으로 주목받긴 어렵다는 전망이다.

관련기사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미국 주 단위로 공공요금을 정하는 공익사업위원회(PUC)가 SMR 설립 프로젝트 관련해 전기요금 인상을 승인한 사례가 없다"며 "저렴한 재생에너지가 있는데 수지 타산이 맞지 않는 원전 설립을 추진하면 주 정부 입장에선 정치적 리스크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 5월 로이터도 AI 데이터센터로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에 재생에너지와 ESS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반면, SMR은 상용화까지 시간이 걸려 적시에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