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안전이 최우선인 시대다. 감염병 대응에서 사전 예방적 안전 활동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어질 코로나19 및 인플루엔자 접종을 앞두고 질문을 던져야 한다. 현 접종 방식은 안전한가.
백신은 질병 예방을 위한 최우선 조치다. 때문에 지금까지 신속히 더 많은 국민에 대한 접종이 중요하게 받아들여졌다. 여기에 접종 참여자 중심의 안전한 접종 과정 시스템까지 확보되어야만 한다. 이는 디지털헬스 기술 적용으로 용이해질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언론을 통해 오접종 이슈를 비롯해 등록 오류, 사후관리 부재 등이 제기된 바 있다. 사실 이는 비단 팬데믹이란 특수 상황뿐만 아니라 정례 예방접종 시행계획하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방접종이 실시되는 의료 현장의 구조적 한계 때문이다.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등은 백신 이상 반응(AEFI) 모니터링 강화와 디지털 보고 체계 구축을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백신을 공급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접종자의 안전과 권익을 보호하겠다는 취지에서였다. 의료소비자 관점을 대폭 반영한 셈이다.
반면, 우리는 갈 길이 멀다. 공급자 및 행정 중심의 접종계획이 되풀이되고 있다. 물론 관계부처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관련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그럼에도 의료현장 및 소비자의 목소리를 반영하기에는 조금 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예방접종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본질적 혁신에 이르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우리 접종 시스템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까.
접종자는 실시간으로 이상 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한다. 의료기관과 접종을 맡는 보건당국은 관련 정보를 접종 참여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손쉽고 간단하게 이뤄져야 하는 접종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는 행정 효율화를 넘어 국민 안전을 위한 접종자 기준의 행정대집행이라 하겠다.
보건당국이 선제적으로 변화를 주도한다면 국민은 혜택을 체감할 수 있다. 장차 우리나라가 글로벌 백신 안전관리의 선도국으로의 자리매김도 기대할 수 있다. 다가올 예방접종부터 백신 행정의 패러다임이 국민과 안전을 최우선에 놓고 전환되기를 기대한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