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가 성과급 대신 올해 북미 지역의 모든 급여제 직원에게 일괄적으로 2% 급여 인상을 적용할 예정이다. 회사는 고위험 반등 전략을 추진하는 동시에 비용을 관리하려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이번 계획이 서비스 개선과 대기 시간 단축, 더 쾌적한 매장 환경 조성 등 투자와 맞물려 있다고 밝혔다. 다만 회사는 이 과정에서 다른 비용을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스타벅스는 이번 회계연도(9월 말 종료)에는 성과급 대신 모든 팀에 일관된 인상률을 적용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따라서 이번 2% 인상은 본사 직원뿐 아니라 생산·물류 부문, 매장 관리자 등 급여제 근무자 모두에게 적용된다. 바리스타처럼 시급제로 일하는 직원은 해당되지 않는다.

외신은 스타벅스가 6개 분기 연속 동일점포 매출 감소를 끊기 위해 매장 환영 분위기를 개선하고, 설탕을 줄인 메뉴 리뉴얼, 추가 인력 충원, 주문 간소화 기술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고경영자 브라이언 니콜은 동시에 비용 절감을 조건으로 한 임원 주식 보상제도도 시행했다. 일부 임원은 최대 600만 달러(약 83억6천520만원) 규모의 주식 보상을 받게 되는데, 이는 비용 억제와 조기 실적 개선에 성공했을 때만 지급된다.
스타벅스는 매장 혁신 계획에 직원들이 힘을 보태도록 전 CEO 하워드 슐츠까지 불렀다. 슐츠전 CEO는 최근 실적 부진 후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연설을 진행했으며, 지난 6월에는 매장 관리자 중심의 직원 1만4천명이 모인 행사에서도 발언했다.
니콜 CEO는 바리스타 복장 규정 강화, 본사 직원 1천100명 감원, 일부 인력의 시애틀 본사 재배치 등 조직 구조조정도 단행했다.
관련기사
- 스타벅스, ‘더 멜론 오브 멜론 프라푸치노’ 판매 재개2025.08.11
- 스타벅스, 한강공원에 신규 매장 잇따라 개점2025.08.06
- 스타벅스, 네이버 지도앱 통해 ‘맞춤형 매장 찾기’ 서비스 진행2025.07.04
- 스타벅스, 7년만에 플라스틱 빨대 도입..."일부 매장서만"2025.06.25
애널리스트들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이번 분기에 동일 점포 매출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도에는 실적 부진으로 본사 직원들이 보너스의 60%만 받았고, 바리스타 인상률도 최대 3%로 제한됐다.
현지시간 화요일 오전 9시 45분 기준, 스타벅스 주가는 거의 변동이 없었다. 올해 들어서는 1.4% 상승에 그쳤는데, 이는 같은 기간 S&P500 지수의 9.7% 상승률을 크게 밑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