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마 효과"…美 스타트업 IPO 열기 재점화

피그마, 상장 후 주가 27% 급락해도 몸값 고공행진…"IPO 속도 붙을 것"

컴퓨팅입력 :2025/08/06 12:54

기업공개(IPO)를 마친 피그마가 미국 스타트업 기업의 상장 기대심을 자극하고 있다. 이에 침체됐던 기술 스타트업 IPO 시장에 온기가 돌 것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다. 

6일 IT 업계에 따르면 피그마 상장 여파가 미국 AI 스타트업 전반으로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IPO 시장 회복을 기대하면서 상장에 나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앞서 피그마는 지난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후 첫 거래일 주가가 공모가 대비 세 배 이상 급등했지만 지난 4일 장에서 27% 하락했다. 종가는 88.60달러(약 12만2천985원)로 지난 금요일 종가 122달러(약 16만9천3백48원)보다 33.40달러 떨어졌다. 

딜런 필드 피그마 최고경영자. (사진=유튜브 블룸버그 라이브 캡처)

다수 외신은 피그마 추가가 상장 첫날부터 세 배 가까이 급등했던 것은 고성장 기술주에 대한 월스트리트의 갈증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피그마 시가총액과 기업 가치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피그마의 완전 희석 기준 시가총액은 약 560억 달러(약 77조7천336억원)에 달한다. 이는 2022년 어도비가 인수를 제안했던 200억 달러(약 27조7천620억원)의 세 배에 가까운 규모다. 

또 딜런 필드 피그마 최고경영자(CEO)의 보유 지분 가치는 여전히 50억 달러(약 6조9천405억원)가 넘는다. 공동 창업자인 에반 월리스 역시 억만장자 반열에 올랐다.

이런 이유로 피그마의 IPO 여파가 시장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일각에선 스타트업들의 IPO 준비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분위기가 나오고 있다. 실제 피그마가 상장한 다음 날 의료 기술 스타트업 하트플로우는 기업가치 13억 달러(약 1조8천억원)로 S-1 서류를 제출하며 IPO 준비를 시작했다.

관련기사

오랫동안 IPO 후보로 거론된 후속 기업들도 재주목받고 있다. 데이터브릭스를 비롯한 클라르나, 스트라이프, 스페이스X 등은 몇 년 전부터 IPO 가능성을 제기했다. 최근 급부상한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와 앤트로픽, xAI 등도 IPO 관련 주목을 받고 있지만 구체적인 발표가 이뤄진 적은 없다. 미국 포춘은 IPO를 빠르게 추진할 기업으로 캔바, 레볼루트, 미드저지, 모티브, 앤듀릴 등을 제시했다. 

커스텐 그린 포러너벤처스 창립자는 "성공적 IPO은 모두에게 좋은 신호"라며 "스타트업이 IPO를 '공개 시장에서의 시리즈 A'로 인식한다면 상장에 대한 열의도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