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소속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과 관련해 정부의 2차 조사 결과가 발표된 직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SK텔레콤의 총체적 보안관리 부실과 정부의 무대응이 이번 사태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19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긴급 회견에서 민주당 황정아 의원은 성명을 통해 "오늘 발표로 우리는 세 가지를 확인했다"며 "전 고객의 개인정보 유출, SK텔레콤의 총체적 보안관리 부실, 이를 방치한 윤석열 정부의 무능과 무대응"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회견에 참석한 의원은 최민희 과방위원장과 황 의원, 조국당 이해민 의원 등이다.
이들은 특히 2차 조사에서 드러난 단말기 고유식별정보(IMEI) 29만 건과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포함된 서버 감염 사실을 언급하며 "1차 조사에서 ‘유출 없음’이라고 발표했던 정부가 2.5년치 로그 기록이 없어 유출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IMEI 정보와 개인정보가 유출될 경우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중대한 사안"이라며 "유심 교체를 최대한 서두르고 KT, LG유플러스 등도 전 고객 대상으로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관련기사
- 최태원 회장, 과방위 SKT 해킹 청문 불출석 사유서 제출2025.05.06
- 과방위, 5월8일 SKT 해킹 청문 연다...최태원 회장 증인 채택2025.04.30
- 과방위, 최태원 회장 증인 채택..."SKT 위약금 면제해야"2025.04.30
- 과방위, EBS 사장 선임·TV 수신료 두고 이진숙 위원장과 공방2025.04.18
또한 SK텔레콤의 보안 시스템 전반에 대한 책임론도 강하게 제기했다.
황 의원은 "악성코드 최초 감염이 2022년 6월임에도 3년 가까이 감염 사실을 파악하지 못했다"며 "IMEI와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은 SK텔레콤의 안일한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