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로는 영업이익률이 저하된 모습으로 보이는데, 이게 가장 큰 요인은 전년 대비 차종 믹스와 인센티브 증가에 대한 부분이다."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 25일 열린 기업설명회(IR)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1분기(1월~3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한 이유에 대해 이같이 설명하며 "차종 믹스로는 인도 시로스와 전기차 EV3, EV4를 출시했고 이 차종들이 기존 스포티지, 쏘렌토 같은 고수익을 내는 차종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기아는 지난해 대중형 전기차 EV3와 지난 3월 전기세단 EV4를 출시했다. 인도 현지 모델 시로스를 지난 2월 출시했다. 이 차종들의 수익성은 '제값받기'로 높은 수익을 내던 기아 대표 레저용차(RV) 모델보다 훨씬 낮다는 뜻이다.

기아는 올해 1분기 매출액 28조175억원, 영업이익 3조86억원, 경상이익 3조2천434억원, 당기순이익(비지배 지분 포함) 2조3천92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6.9%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12.2% 감소하고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4.3%, 14.8% 줄어든 수치다.
김 본부장은 또 "(인센티브는) EV9 같은 경우에는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했던 것 대비 올해 1분기 판매 실적이 많이 줄었는데, 이는 전기차 둔화 영향이라고 보기보다는 작년 전기차 라인을 한국에서 수출했던 게 현재는 미국 정부 보조금을 받기 위해 미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지 조정의 결과"라고 했다.
이어 "2분기는 타스만이 정식 출시되고 EV9, EV6가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정상적으로 생산되고 미국 내 보조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믹스 영향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1보] 기아, 1분기 영업익 3조원…전년 比 12.2% ↓2025.04.25
- 현대차, 생산 효율화·현지화로 美 관세장벽 넘는다2025.04.24
- 현대차 "美 가격동결은 6월 2일까지…이후는 시장이 정해"2025.04.24
- 현대차 "美 HMGMA서 내년부터 하이브리드 생산"2025.04.24
기아는 인센티브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현재 자동차 산업 평균 대비 낮은 수치의 인센티브를 운영하는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뜻이다.
김 본부장은 "올해 미국 신차 예정이 없어 작년 1천100달러(157만원) 수준 인센티브에서 올해 2천달러(286만원)로 늘어나게 됐다"며 "다만 작년 4분기 대비 인센티브 운영이 증가하지 않았고 오히려 2분기에는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