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정을 통해 두고/ 서동 도련님(薯童房)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신라 수도 서라벌에서 언제부터인가 이상한 노래가 들리기 시작했다. 동네마다 아이들이 몰려 다니며 공주의 ‘부적절한 행위(?)’를 노래했다.
내용이 충격적인 만큼, 전파 속도도 빨랐다. 삼삼오오 '선화공주의 한밤중 애정행각'을 노래하면서 웃어댔다. 결국 이 노래는 진평왕의 귀에 들어가게 된다. 분노한 진평왕은 선화공주를 귀양 보내버린다. 자다가 날벼락 맞은 공주는 울면서 서라벌을 떠난다.

허위 선전선동의 모든 조건 담고 있는 서동요 설화
그 때 선화공주 앞에 서동이 나타난다. 막막했던 선화공주는 결국 서동이와 결혼을 한다. 이후 백제로 건너간 서동은 30대 왕에 취임한다.
삼국유사 백제편에 나오는 ‘서동요’ 설화다.
우리는 '서동요 설화'를 서동과 선화 공주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로 배웠다. 하지만 곰곰 따져보면, 저 설화는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허위조작정보(disinformation)와 '악성 지라시'의 종합판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서동요'는 공주가 밤마다 남몰래 정을 통한다는 황당하기 이를 데 없는 모함을 담고 있다. 물론 새빨간 거짓말이다. '최초 유포자' 서동이 부정한 의도를 갖고 만든 노래다. 그리곤 서라벌의 아이들에게 저 노래를 가르쳤다.
‘전염성 강한’ 메시지를 담은 이 노래는 당시 가장 전파력 강한 소셜 미디어인 ‘아이들의 입소문’을 타고 서라벌 전역에 퍼져버렸다. ‘선화공주의 부적절한 행위’란 가짜뉴스는 순식간에 기정사실로 바뀌었다.
별다른 통신 수단이 없었던 신라시대에 동네 곳곳을 휘젓고 다니는 아이들의 입소문은 가장 강력한 소셜 미디어였다. 서동요가 유포된 서라벌은 모바일 기기와 SNS가 지배하는 21세기 우리 사회와 놀랄만큼 닮았다.
제2, 제3의 서동요가 울려퍼지고 있는 우리 사회
최근 우리 사회에는 제2, 제3의 ‘서동요’가 끊임 없이 쏟아지고 있다. 언론들의 무분별한 인용 보도까지 가세하면서 미확인 소문들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지난 달부터 쏟아지고 있는 김수현-김새론 관련 ‘소문’들이다. 김새론 씨의 비극 이후 잠시 주춤하는 듯했던 관련 보도는, 최근 들어선 김수현 씨를 대상으로 한 온갖 추문으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최근엔 모 대기업 고위 경영자의 갑작스런 별세에 관한 ‘받은 글’들이 유포돼 논란이 됐다. 정체 불명의 이 ‘받은 글’이 마치 사실인양 카카오톡 같은 SNS로 빠르게 확산됐다. 고인과 주변 사람들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
다시 ‘서동요’ 얘기로 돌아가보자. 처음 시작한 것은 불순한 의도를 가진 서동이었다. 그는 ‘충격적인 내용’을 담은 노래로 아이들을 유혹했다. 제대로 된 판단 능력 없는 아이들은 얼마나 나쁜 노래인지 제대로 판단하지도 못한 채 앵무새처럼 그 정보를 전파했다.
'서동요 사건'에서 가장 나쁜 사람은 악의적으로 허위정보를 만든 서동이다. 하지만 아무 생각 없이 그런 노래를 흥얼대며, 마구 유포한 '서라벌 사람들' 역시 희대의 사기극의 공범이었다.
아버지인 진평왕 역시 적지 않은 문제를 노출했다. 그는 '황당하기 이를데 없는 노래'를 그냥 믿어 버렸다. ‘비판적 읽기’란 뉴스 수용의 기본을 망각한 채, 자기 딸을 '부정한 여인'으로 단죄해버렸다.
21세기판 서동요의 희생자가 되지 않으려면
요즘 우리 사회를 돌아보면 '21세기판 서동요 사건'이 곳곳에서 눈에 띈다. 지라시에 실린 근거 없는 정보를 마구 돌려보며 낄낄대는 모습은, 신라시대 서라벌 골목의 철부지 아이들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관련기사
- '김수현-김새론 보도'와 언론의 책임2025.03.14
- 김수현 논란 직격탄…디즈니, OTT 꼴찌 탈출 '빨간불'2025.03.22
- 김수현 모델 쓴 기업들 '끙끙'..."신속 조치" vs "지켜보자"2025.03.12
- "세계 파운드리 4·5위 합병 검토"…삼성전자 압박 가능성2025.04.01
사람들은 '봐야 할 뉴스' 보다는 '보고 싶은 뉴스'에 더 끌리는 경향이 있다. 평범한 내용보다는 '충격적인 내용'에 더 귀를 기울인다. 하지만 더 끌리고, 듣기 솔깃한 내용일수록 더 비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게 '21세기판 서동요'의 희생자가 되지 않는 진정한 '뉴스 리터러시'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