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먼 "오픈AI, 오픈소스 전략 잘못됐다…재검토 필요"

레딧서 AI 기술 공개 방식 변화 시사…"새 전략 필요하지만 최우선 과제는 아냐"

컴퓨팅입력 :2025/02/02 10:45    수정: 2025/02/02 11:11

샘 알트먼 오픈AI 대표가 회사의 오픈소스 전략이 "역사의 잘못된 편에 있었다"며 새로운 전략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2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알트먼 대표를 포함한 오픈AI 주요 임원진은 지난 31일 레딧 '뭐든지 물어봐(AMA)' 게시판에서 오픈소스 정책, 인공지능(AI) 경쟁, 모델의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 그는 중국 AI 기업 딥시크의 부상으로 오픈AI의 우위가 줄어들었다고 인정하며 기술 공개 방식을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케빈 웨일 오픈AI 최고제품책임자(CPO)는 구형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오픈소스 확대가 최우선 과제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샘 알트먼 오픈AI 대표 (사진=툴스 포 휴머니티)

추론 과정 공개도 주요 이슈였다. 현재 오픈AI 모델은 내부 사고 과정을 따로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딥식은 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웨일 CPO는 "추론 과정을 지금보다 더 많이 공개할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 개선된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픈AI의 요금 정책도 주목받았다. 알트먼 대표는 "'챗GPT' 요금을 인상할 계획이 없다"며 "오히려 더 저렴하게 제공하고 싶다"고 말했다.

AI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연산력(Compute Power)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웨일은 더 많은 연산 자원이 더 나은 모델을 만든다며 오픈AI가 추진하는 초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를 언급했다.

알트먼 대표를 포함한 오픈AI 주요 임원진이 지난 31일 레딧 '뭐든지 물어봐(AMA)' 게시판에서 오픈소스 정책, AI 경쟁, 모델의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 (사진=레딧 캡처)

오픈AI의 AI 모델이 군사적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논의됐다. 오픈AI는 최근 미국 국립 연구소와 협력해 AI 모델을 제공하기로 한 상태로, 이 연구소의 업무에는 핵 방어 연구도 포함된다. 웨일 CPO는 "연구진이 AI 모델을 무분별하게 활용할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신규 모델 출시 일정도 공개됐다. 올트먼은 새로운 추론 모델 'o3'가 몇 달 내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세대 'GPT-5'의 출시는 아직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이미지 생성 모델 '달리(DALL-E) 3' 후속작 역시 개발 중이다.

알트먼 대표는 "AI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더 나은 모델을 만들겠지만 과거처럼 압도적인 격차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