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에 요동치는 K배터리...ESS 틈새 엿보는 소재 기업들

美 ESS용 소재 수요 증가 전망…업계, 현지 공장 설립·신규고객 확보 검토

디지털경제입력 :2024/12/18 17:09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으로 이차전지 소재 업체들이 타격을 입는 가운데 에너지저장장치(ESS)가 돌파구로 주목을 받고 있다. 분리막과 전해액 등 ESS용 소재 수요가 함께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해당 시장을 노려볼 만하다는 것이다. 특히, 국내 기업들은 중국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힘을 쓰지 못하는 미국 시장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코트라가 발표한 '미국 배터리 분리막 시장 동향'에 따르면 세계 배터리 분리막 시장은 전기차, ESS, 소비자 전자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이차전지 수요 증가와 동반 성장하고 있다.

배터리 분리막 시장 생태계 (사진=마켓츠앤마켓츠)

시장조사업체 더 비즈니스 리서치 컴퍼니는 2023년 기준 약 50억4천만달러 규모였던 분리막 시장이 2028년까지 연평균 14.9% 성장해 약 102억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코트라는 미국 배터리 분리막 시장이 ESS 중심으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다는 점에서 국내 기업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송소영 무역관은 "ESS는 재생 가능 에너지 저장과 전력 관리 핵심 기술로 자리 잡으며, 분리막 시장의 대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ESS가 고성능 분리막에 대한 수요를 견인하며, 전기차 캐즘 속에서도 시장 수요 지속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美 분리막 수입액, 中 제외하면 韓 2위...고성능 분리막 수요늘 것"

코트라에 따르면 미국 배터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HS 코드(8507.90) 작년 전체 수입액은 약 71억1천608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27.4%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수입액은 약 32억8천211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4% 감소했다.

배터리 수요 축소에 따른 생산 감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31.8%), 한국(21.3%), 일본(21.1%) 순으로, 중국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수입국이다.

미국의 배터리 분리막 포함 배터리 부품 수입 동향(HS코드 850790 기준 (표=코트라)

송소영 디트로이트무역관은 "(분리막 수입액 감소에도 불구하고)미국 배터리 산업은 여전히 중국, 한국, 일본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높은 의존도를 보인다"며 "이들 국가 안정적인 공급망과 기술 경쟁력이 시장 점유율 유지와 향후 성장의 핵심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9월 27일부터 시행된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추가 관세 조치에 따르면, 중국산 배터리 부품에는 최대 25% 추가 관세가 부과돼 중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국산 배터리 분리막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혜택에 따라 관세가 면제되고 있다.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국산 분리막과 경쟁해 볼만한 상황인 셈이다.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고성능 분리막 기술이 필요하다. ESS와 같은 대용량 배터리는 반복적인 충·방전에도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송 무역관은 "고성능 분리막 개발과 ESS 등 고사양 응용 분야에 적합한 제품군 확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미국 자국 산업 보호 정책에 대응하려면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부연했다.

글로벌 전해액 시장 수요 전망 (2021~2035년)(출처=SNE리서치)

전해액 역시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이차전지 전해액 수요는 올해 142만톤에서 2035년 446만톤으로, 연평균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SNE리서치는 "전기차 캐즘 등 전방산업 악화와 미국 등 대외정책 영향, 중국 중심 과잉공급 등 시장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소가 존재하나, 전동화 전환의 흐름과 ESS 등 기타 애플리케이션 확대에 따라 전해액 시장의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했다.

트럼프 2기, 배터리 소재 과세 움직임업계 "예의주시"

국내 배터리 업계는 내년 출범하는 트럼프 2기 정부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부 지침인 해외우려기업(FEOC)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북미 공장 설립 여부 등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분리막제조업체 더블유씨피(WCP)는 현재 캐즘으로 북미 투자 결정을 미룬 상황인데, 트럼프 정부 방향성을 가늠한 내년 상반기쯤 투자 여부를 발표할 계획이다.

분리막을 살펴보는 SKIET 직원 (사진=SKIET)

전기차용 분리막 매출 비중이 높은 SKIET도 실적 타격 완화를 위해 ESS 수요를 노리고 있다. SKIET는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와 ESS용 분리막 신규 공급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WCP와 마찬가지로 미국 대선 이후 북미 진출 전략을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전해액 업계 역시 고객사와 경쟁사의 동향을 파악하며 대응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배터리 소재 관세 정책의 구체적인 영향은 아직 불확실하다"며 "북미 공급망 체계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으며, 경쟁사들의 대응 방안 또한 시뮬레이션해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