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와 배터리는 '바늘과 실' 같은 관계입니다. 배터리가 전기차 성능과 안전을 좌우하는 만큼 둘은 한 몸과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B2B 영역이다 보니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 쉽지 않습니다.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해 많은 사실이 왜곡되고 또 잘못된 정보가 나돌기도 합니다. 올바른 산업 발전에 큰 지체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많습니다. 지디넷코리아가 전기차와 이차전지 관련 정확한 정보를 알리고,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편집자주]
지난 3일 비상 계엄 사태 이후로 달러 환율이 1천400원 대에서 1천430원 대로 치솟으면서, 일각에선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재무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흘러나왔다. 기업들이 상당량의 달러 부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상 계엄 사태가 일단락된 이후에도 당분간 달러 환율이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런 측면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주춤하면서 그 동안 추진한 공격적인 투자가 현재는 고정비 부담으로 작용하는 와중에 환율이 또 다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3분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달러 부채 6조 8천284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로는 2조 6천610억원 어치의 부채가 있다. 유로 또한 달러와 마찬가지로 환율이 계엄 이후 1천480원 대에서 현재 1천510원 대까지 오른 상황이다.
삼성SDI는 지난해 사업보고서에서 달러 부채를 4조 4천312억원, 유로 부채를 648억원 어치로 명시했다. 이는 달러 당 1천306원, 유로 당 1천412원의 평균 환율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이다.
SK온은 3분기 기준 달러 부채 3조 4천379억원, 유로 부채 267억원으로 기재했다.
부채 상황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달러 환율이 10% 상승하면 세전손익이 2천389억원 감소하게 된다고 밝혔다. 같은 기준 유로는 2천322억원 세전손실을 유발한다고 예상했다.
삼성SDI는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5% 하락할 경우 세후손익이 약 11억7천360만원 줄어든다고 밝혔다. 유로 기준으로는 4억5천650만원 세후손실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SK온은 각 외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5% 변동 시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이 177억원 가량 오르내린다고 밝히고 있다.
환율에 따른 예상 손실 금액이 상당한 만큼 실적에도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하기 쉽다. 그러나 이는 외화 기반 매출의 가치도 상승한다는 점이 고려되지 않은, 부채 규모의 변동분만 단순 측정한 수치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외화 베이스 사업에서 발생하는 영업이익이나 매출 증가분까지 감안하면 이득이 훨씬 크다”며 “환율 변동에 따른 부채 평가손실은 현재 공개돼 있는 부채에 대한 위험도를 주주들에게 알려야 하기 때문에 공시되는 내용이고, 실질적으로는 환율이 인상되면 사업 상 이점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환율 인상 수준만큼 영업이익이 크게 오른다고 단정짓기도 어렵다. 배터리 생산에 따르는 원자재 등 비용도 인상 효과를 받기 때문이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환율 인상은 원자재를 매입하는 측면에선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배터리 사업이 수출이 주인 점을 고려하면 매출 규모는 확대될 수도 있다"며 "환율 추이에 따라 지금 산 원자재 매입 내역을 차후 회계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변동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현대차 어쩌나'…트럼프팀, 전기차 지원 줄이고 배터리 소재 관세 검토2024.12.17
- 무너진 유럽 배터리 자급자족의 꿈...中 공세 거세져2024.12.15
- 배터리 세계 1위 CATL, 협력사에 "R&D 비용 대겠다"2024.12.15
- 트럼프 출범 코앞인데…탄핵 정국 속 K배터리 우려 고조2024.12.13
업계가 상시 환위험을 관리하는 점도 변동 폭을 줄이는 부분이다. 각 기업들은 이를 위해 지속적인 환율 모니터링과 통화선도계약 및 통화스왑계약 체결 등을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도 환율 변동에 따른 배터리 사업 영향이 많이 주목받아왔다"며 "매출과 부채를 종합적으로 봐야 하기도 하고, 시기에 따라 환율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서 사업에 미칠 영향력을 진단하기 적절치 않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