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중위소득 5681만원·평균소득 7185만원

전년 대비 5.9%·6.3% 올라…평균 부채 9182만원

금융입력 :2024/12/09 12:00    수정: 2024/12/09 14:42

2023년 우리나라 중위소득은 5천681만원, 평균소득은 7천185만원으로 집계됐다.

9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낸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소득의 중앙값을 나타내는 중위소득은 2022년 5천362만원 대비 5.9%오른 5천681만원, 평균소득은 2022년 6천762만원과 비교해 6.3% 상승한 7천185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가구소득의 구간별 가구비율은 ▲1천만원 미만(4.6%) ▲1천만~3천만원 미만(20.1%) ▲3천만~5천만원 미만(19.5%) ▲5천만~7천만원 미만(15.9%) ▲7천만~1억원 미만(17.3%) ▲1억원 이상(22.6%)로 집계됐다.

(사진=이미지투데이)

2022년과 비교하면 가구소득이 7천만원 미만인 비율은 모두 줄어들었으며 7천만~1억원 미만 구간이 17.0%에서 17.3%로 0.3%p, 1억원 이상 가구 비율 20.0%에서 22.6%로 2.6%p 상승했다.

올해 3월말 기준 가구 평균부채는 9천128만원으로 전년(9천186만원) 대비 0.6% 감소했다. 부채는 금융부채와 임대보증금으로 구성됐는데 금융기관에 진 금융부채는 72.7%, 임대보증금 27.3%로 이뤄졌다. 가구 평균 금융부채는 6천637만원으로 전년(6천694만원)과 비교해 0.8% 줄었다. 

2024년 3월말 기준으로 부채 보유 가구 비율은 60.7%로 전년(62.1%) 대비 1.4%p 감소했다. 부채 보유가구의 평균 부채 보유액은 1억5천43만원으로 전년(1억4천804만원)에 비해 1.6% 증가했다. 금융부채 중 담보대출은 3.9% 증가한 반면, 신용대출은 3.8% 감소했다. 부채 보유가구의 중앙값은 8천만원으로 전년(7천700만원)에 비해 3.9% 늘었다.

올해 3월말 기준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6.9%로 전년(17.4%) 대비 감소했다. 올해 3월말 자산은 5억4천22만원이며 지난해 3월말 기준 자산은 5억2천727만원이었다.

관련기사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7.4%p 전년(75.7%) 감소한 68.4%다. 올해 3월말 저축액은 9천710만원, 전년 저축액은 8천840만원이었다.

2023년 지니계수는 0.323으로 전년 대비 0.001 감소했으며 상대적 빈곤율은 14.9%로 전년과 동일했다. 소득 5분위 배율은 5.72배로 전년 대비 0.04배p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