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료] 진단검사의 디지털 전환...글로벌 기업은 일찌감치 가치 알아봤다

"질병 예방 조기 진단 위한 중요성 증대…새 가치 창출 위한 지원 필요해"

헬스케어입력 :2024/11/05 14:54    수정: 2024/11/05 15:34

정보통신 기술에 힘입어 보건의료 영역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전 세계는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를 통한 신종 감염병, 초고령화 시대, 지역 간 건강격차 해소 등 우리 앞에 놓인 적대적 환경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디넷코리아는 국내·외 디지털헬스산업의 가장 정확한 전망을 제시할 것이다. [편집자 주]

미래의료를 위한 진단검사의학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민간 분야부터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여러 변화가 있다면, 진단검사의 중요성을 새삼 인식하게 된 계기였다는 것이다. 감염병 확산에 따른 진단역량은 해당국 보건의료체계의 대응 고도화를 결정짓는 기준이 됐다.

이런 말이다. 환자가 기침과 발열 등 의심 증상을 보여도 RT-PCR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면 환자로 분류되지 않았다. 반면, 의심 증상이 없더라도 진단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온다면 확진환자로 분류, 치료와 격리 등의 관리를 받게 됐다.

과장을 보태 진단검사 결과에 따라 죽느냐, 사느냐가 결정됐으니 검사 역량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부상했다. 엔데믹 이후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들은 진단검사의 가치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디지털헬스 기술과 결합해 질병의 예방과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산업적 측면에서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한국로슈진단 홈페이지 캡처

엄태현 인제대 일산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언론과 만나 “진단검사는 의학적 결정의 60%~70%에 영향을 미친다”라며 “치료 방향 결정과 의사결정을 위한 필수의료 행위”라고 밝혔다.

엄 교수의 말마따나 이미 세계보건기구(WHO)는 162개의 필수 체외 진단 영역과 200여 개의 권고사항을 담은 WHO Model List of Essential In Vitro Diagnostics를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진단검사가 보편 건강 보장과 보건위기 대응을 위한 필수 요소라는 인식 하에서 나온 것. 진단검사의학과는 의료법이 규정하는 종합병원 요건 내 필수진료과목 중 하나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진단검사는 디지털헬스 기술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분야이자, 해당 의료행위 결과가 디지털헬스산업의 밑바탕이 된다는 독특한 성격을 갖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검사 데이터다. 진단검사데이터는 건강관리·예측·질환 진료·감염 관리·방역 등에 활용된다. 보건복지부는  건강정보의 잠재 가치를 2조 원 가량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물론 우리가 갈 길은 멀다. 

윤여민 건국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와 검사실은 고품질의 진단검사 데이터를 생산하고 관리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면서도 “진단검사 데이터 등의 디지털 전환과 표준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글로벌 기업은 진단검사 이후 도출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미 한창이다. 대표적인 곳이 로슈진단이다. 예를 들면 검사실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이른바 ‘스마트랩(Smart Lab)’ 구현 사례인 ‘네비파이’가 있다.

윤무환 한국로슈진단 디지털 인사이트 사업부 전무는 “스마트랩은 검사실 운영 효율성과 유연성, 데이터 보안성을 높이고, 의료진의 의학적 결정을 돕고, 환자 치료 경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라며 ”‘네비파이’ 적용 이후 검사·분석 소요 시간·인력·비용이 개선됐으며, 의료진 만족도도 90% 이상으로 나타났다”라고 밝혔다.

특히 진단검사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AI)은 진단검사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더 빠르게 할 것으로 보인다. 윤 전무는 ”헬스케어에 AI를 적용하기 위한 윤리적 기준을 마련하고, R&D 투자 및 빅테크와의 협업으로 AI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국내에서도 뷰노와 루닛 등 진단검사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해 비교적 사업화에 성공한 기업들이 나온지 10여년이 지나고 있지만 로슈진단 등 글로벌 기업과 비교하면 기업 가치와 사업 규모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초고령화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 다시 만성질환의 증가 등 우리 앞의 환경은 적대적이다. 제도 지원을 바탕으로 진단검사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K-진단검사의 고도화는 앞으로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의료의 주요 축이 될 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