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사망자가 평균연령 44.2세에 1인가구, 월소득 100만원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15년~2023년 기간 동안의 심리부검 면담 분석에 따르면,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는 남성이 64.7%, 여성이 35.3%로 조사됐다. 평균연령은 44.2세이며, 1인 가구는 19.2%였다. 이들은 피고용인 비율은 38.6%로 가장 많았고, 소득수준은 월 100만 원 미만인 저소득층이 46.5%였다.
심리부검이란 자살사망자의 가족이나 지인의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해 자살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방법이다.
자살사망자는 평균 4.3개의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34세 이하 청년기는 다른 생애주기에 비해 실업자 비율과 구직으로 인한 직업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높았다. 35세~49세 장년기의 경우, 직업과 경제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생애주기 중 가장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직장동료 관계문제 ▲사업부진 및 실패 ▲부채 등이 높았다.
중년기(50~64세)는 실업자 비율이 청년기 다음으로 높았다. 이들은 퇴직·은퇴·실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고, 정신건강 스트레스 경험비율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65세 이상 노년기는 다른 생애주기보다 대인관계 단절 비율이 높았다. 만성질병으로 인한 신체건강 스트레스와 우울장애 추정 비율이 가장 높았다.
자살사망자의 96.6%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였지만, 이를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3.8%에 불과했다. 경고신호를 드러낸 시기를 분석한 결과 사망 1개월 이내의 경우 감정상태 변화가 19.1%, 주변정리가 14.0% 등이었다. 사망 1년 이상 전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경고신호는 수면상태 변화(26.2%)와 자살에 대한 언급(24.1%) 등이었다.
자살사망자 유가족 정신건강 문제…1인가구,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 대부분(98.9%)은 사별 이후 변화는 ▲심리·행동 97.6% ▲대인관계 62.9% ▲신체건강 56.5% ▲가족관계 52.2%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문제도 겪고 있었는데 심한 우울이 20.0%로 가장 높았고, ▲임상적 불면증 33.1% ▲복합비탄 37.8% ▲자살사고 56.3% 순이었다.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다. 주요 이유는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1인가구 자살사망자 가운데 청년기 비율은 43.8%로 높았다. 반면, 다인 가구 청년기 자살사망자 비율은 28.0%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1인가구의 경우, 자택 내 사망 비율이 69.0%로 다인 가구(53.2%)보다 높았다. 다인 가구가 가족(52.1%)에 의한 최초발견이 높았던 것과 달리, 1인 가구는 가족(25.6%), 경찰 및 소방(25.1%), 지인(24.6%) 등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비정규직 비율은 43.7%로, 다인 가구의 29.7%보다 높았다. 지속 빈곤으로 인한 스트레스 비율이 15.3%로, 다인 가구 8.7%보다 높게 조사됐다. 이렇듯 1인 가구의 상당수는 고용불안정과 낮은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심리부검을 통해 파악한 자살위험 요인을 향후 자살예방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겠다”며 “7월부터 의무화된 자살예방교육에 자살위험 경고신호를 파악하는 방법이 포함돼 있고,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태연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이사장도 “이번 1인 가구 분석과 같은 심리부검 면담 자료를 활용한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가 활성화되고 연구 결과가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2023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는 유족 1천262명으로부터 얻은 자살사망자 1천99명에 대한 심리부검 면담 자료다. 보고서는 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배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