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 일부 개선...웹사이트 접근성도 높아

방송/통신입력 :2024/03/28 16:51

지난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일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과 고령자 등의 웹사이트 접근성 수준도 일부 높아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국민 체감 성과와 사회 현황 진단을 위해 일반국민과 디지털 취약계층간 디지털정보격차, 장애인과 고령자 등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우선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일반국민 대비 저소득층, 장애인, 농어민,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디지털 격차를 보여주는 국가승인통계로, 전국 17개 시도 1만5천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을 조사한 것이다.

디지털 접근 수준은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디지털 역량 수준은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의 기본적인 이용 능력을 측정한다. 디지털 활용 수준은 디지털을 활용하여 전자상거래, SNS 등의 서비스를 실제로 얼마나 이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2023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76.9%로 전년 대비 0.7% 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5년 연속 상승 추세다.

부문별 종합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정보화 접근 수준은 96.5%, 역량 수준은 65.1%, 활용 수준은 79.0%로 모두 전년 대비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도 고령층이 70.7%(0.8%p↑), 농어민 79.5%(0.6%p↑), 장애인이 82.8%(0.6%p↑), 저소득층이 96.1%(0.5%p↑) 순으로 나타나 모든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향상됐다.

‘웹 접근성 실태조사’는 웹사이트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8개 업종의 웹사이트 1천개를 임의 추출해 접근성 지침(가이드라인) 준수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조사 결과, 웹 접근성 전체 평균 점수는 65.8점으로 전년 대비 4.9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년과 마찬가지로 ‘금융 및 보험업’ 분야 웹사이트가 7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동산업’ 분야 웹사이트가 58.2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규모별로 살펴볼 때 종사자 수가 많은 사업체일수록 웹 접근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은 23.1%로 전년 대비 0.5% 포인트 감소했다.

관련기사

온라인 동영상 이용자 중 73.5%가 1분 남짓 짧은 길이의 ‘숏폼’을 이용하고 있으나, 숏폼 이용자 전체 중 23.0%가 이용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으며 일반 사용자군(16.5%)보다 과의존 위험군(41.8%)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난 점이 눈길을 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과 디지털 접근성을 제고하는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포용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