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름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제 서울 지역에서는 냉면을 먹으려면 이제 평균 1만원이 넘고, 비밤밥도 9000원 넘게 지불해야 합니다.
회사가 몰려 있는 서울 시청과 여의도는 더 합니다. 시청 인근의 유명 삼계탕집에서 식사를 하려면 최소 2만원을 내야하고, 여의도에서 유명 평양냉면 한 그릇은 1만3000원입니다.
고물가 시대에 1만원의 무게감은 과거와 크게 달라졌습니다. 화폐 가치가 그만큼 떨어졌기 때문이죠. 명절이나 결혼 성수기에는 더합니다.
초·중학생 조카들 세뱃돈을 주려면 1만원은 적고, 5만원은 고민됩니다. 얼굴만 아는 직장 동료의 결혼식에 5만원을 내기도 부담스럽죠.
고물가에 화폐 가치 하락이 이어지며 새로운 고액원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현실에서는 실용성이 높은 3만원권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는데요. 여기에 10만원권에 대한 요구고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2022년 회폐시용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10만원권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29.1%로 나타나 2019년(19.7%)에 비해 10%포인트 증가했습니다. 2만원권 도입 응답도 14.8%를 차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국조페공사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를 통해 '은행권 디자인 주제 및 시각자료 개발' 용역을 마치고 연구보고서를 비공개로 공시하면서 새권종에 대한 논란이 높아졌습니다.
조폐공사 측은 5종의 지폐 도안을 요구했는데 시중 사용 지폐는 5만원권과 1만원권, 5000원권, 1000원권 뿐이라는 점에서 3만원권이나 10만원권 발행 기대감이 커졌다는 얘기죠.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새 권종이 조만간 등장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조폐공사 측은 "해매다 발주하고 있는 용역으로 사전 대비인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 차원"이라며 "큰 의미가 없다"고 설명합니다.
사실 현실적으로는 새로운 고액권을 발행하기는 쉽지 않다는게 금융권의 시각입니다.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화폐 제조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실익이 없다는 이유 때문이죠.
3만원권이 등장하면 전국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설비 교체부터 해야합니다. 홍보비용과 도안 모델 선정에 따른 잡음 등 사회적 비용도 적지 않습니다.
과거 5만원권을 도입할 당시에는 2007년 고액 발행 계획을 공식 발표한 이후에도 2년이 지난 2009년이나 돼서 발행을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도안 모델도 백범 김구냐 신사임당이냐를 놓고 논란도 컸었죠.
최근에는 과거와 달리 신용카드와 삼성페이와 애플페이, 네이버페이 등 비대면 상거래 확대로 화폐사용량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새로운 화폐 등장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거론됩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9월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은 일평균 8451억원으로 직전년 같은 기간보다 16.9% 증가했습니다.
반기 기준으로 간편결제 8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였죠. 이용건수는 13.4% 증가한 2628만건으로 금액과 건수 모두 2016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며 현금 없는 사회에 한 발짝 다가가고 있습니다.
화폐 발행을 담당하는 한은 역시 3만원권 발행 계획에 선을 긋는 만큼 새로운 화폐 등장은 한동안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한은 관계자는 "기존 권종에 3만원권이 새로 생기면 개인의 관리가 어렵고 혼선이 올 수 있는 데다 국가적으로 세금을 많이 들여서 새로운 화폐를 만든다는게 쉽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5만원짜리도 상당한 고액권으로 10만원권도 탈세라든지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물가가 크게 오르는 몇십년 뒤에나 검토해 볼 만한 사안으로 현 상황에서는 어렵다"고 설명합니다.
관련기사
- ‘전신마비’ 배정남 반려견, 1년 7개월 만에 집으로 돌아왔다2024.02.26
- 내일 날씨, 동해안 비 또는 눈…아침 -5~3도2024.02.25
- 서하얀, 임창정 '먹튀 논란'에 "고개 숙일 것"2024.02.25
- '미투 자숙' 김생민 3년 만에 근황…김영철과 밝은 미소2024.02.25
※인간의 중대 관심사인 돈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금융 지식이 필수입니다. 하지만 금리, 투자, 환율, 채권시장 등 금융의 여러 개념들은 어렵고 낯설기만 합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는 모두가 '금알못(금융을 알지 못하는 사람)'에 가까울지 모릅니다. 금융을 잘 아는 '금잘알'로 거듭나는 그날까지 뉴시스 기자들이 돕겠습니다.
제공=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