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목·겨드랑이에 혹 만져지면 종양 ‘림프종’일수도

완치율 높고 신기술 개발 활발 적극적인 치료 고려해야

헬스케어입력 :2024/02/24 10:00    수정: 2024/02/25 09:29

목과 겨드랑이 등에 혹이 만져진다면 종양 림프종일 수 있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우리 몸에는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아주는 ‘림프계’ 조직이 분포해 있다. 병균이 몸에 침입하면 림프계의 면역세포가 반응을 보여 림프계의 마디인 림프절이 붓게 된다. 퇴치가 끝나면 다시 가라앉는다. 림프절에 발생하는 ‘림프종’은 림프조직 세포가 악성으로 전환돼  과다 증식해 퍼져나가는 종양이다.

림프종은 90%의 발병 비율을 보이는 비호지킨 림프종과 호지킨 림프종으로 구분된다. 호지킨 림프종은 몸의 일부에서만 증상이 나타나고 종양의 전이 방향도 일정하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치료가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비호지킨 림프종은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고 장기에도 침범해 더 위험하다.

사진=고려대의료원

림프종 발병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목이나 겨드랑이 부위에 혹이 만져져서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좀 더 진행되면 발열·야간 발한·체중 감소·피로 등 전신반응이 나타난다.

림프종의 발병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장기이식수술을 받고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환자에게서 발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면역기능 저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치료는 조직 검사 소견에 따라 병기별로 조금씩 다르다.

저위험 림프종의 경우 진행이 느리고 수년간 생존해 경과 관찰만 이어가기도 하지만, 중위험 림프종의 경우는 항암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수개월 내에 사망할 수도 있어 항암화학요법이 필수적이다.

고위험 림프종은 급성 백혈병과 경과가 유사해 항암화학요법이 더 적극적으로 이뤄진다. 부위가 국소적이거나 재발의 위험이 높을 경우 방사선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관련기사

박진희 고려대안산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림프종은 항암화학 및 방사선치료 요법이 계속 발전하고 있고 자가조혈모세포이식과 CAR-T 세포 치료법 등 신기술 개발로 높은 완치율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호지킨 림프종은 4기까지 진행돼도 75% 정도의 완치율을 보이며, 비호지킨 림프종도  30%~60% 완치율이 보고되고 있는만큼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