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7년까지 지방의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 3조원, 디지털 인재 정착률 50%를 달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 방안'이 마련됐다.
특히 이번 방안은 사회간접자본(SOC) 같은 인프라 확충 중심의 국가균형발전을 넘어 지방의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집중한 점이 특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제2차 지방시대위원회 의결을 거쳐 디지털 중심 지방발전체계 구축을 위한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해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지방시대위가 수립한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의 중점과제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2020년 기준 10조5천억원 규모의 지방의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을 2027년 30조원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2021년 4.01%였던 지방대학의 디지털 인재 지방 정착 비율은 50%까지 끌어올리고, 지방의 디지털 취약계층 정보화 수준을 국민 평균의 83% 수준까지 높인다는 방침이다.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 5개 이상 조성
우선 디지털 기업이 1천개 이상 집적된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를 2030년까지 전국에 5개 이상 조성해 지방에도 판교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디지털 신산업과 디지털 전환의 전략적 구심점을 마련키로 했다.
지자체가 지방의 수요와 일치하는 융합분야에 대한 성장단계별 중장기 조성계획을 세우면 과기정통부를 비롯한 관계부처는 디지털 인프라, 입주기업 지원, 인재양성 프로그램, R&D 등 핵심프로그램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한 지자체 주도로 인근 지방대학의 연구시설, 학위과정, 창업 등 핵심기능을 유치하고 인근 도심의 정주환경과 연계키로 했다.
지난 2020년부터 시작된 광주 인공지능융합산업집적단지에 이어 올해는 부산의 센텀시티와 대구 수성알파시티의 솬련 사업이 시작될 예정이다.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4대 디지털 신기술 기반을 지방의 선도지역 중심으로 구축한다. 특히 내년부터 기존 소프트웨어(SW) 역량 지원 사업을 단계적으로 ‘지역 디지털 기초체력 지원’ 사업으로 패키지화해 지자체의 자율성을 확대한다. 이울러 사이버 보안 거점으로 ‘정보보호클러스터’를 올해부터 동남권에 조성한다.
지방 강소 SW기업 100개, DX 고도화 제조기업 5천개 육성
지방 먹거리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2027년까지 지역 디지털 서비스 강소 SW기업 100개 이상, 디지털 전환(DX) 고도화 제조기업 5천개를 육성한다. 산업 분야별 특화 디지털 서비스(XaaS)를 개발하기 위한 XaaS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 AI 기반 자율형 공장 등을 도입한 디지털 제조혁신 고도화 기업 육성, 스마트 농산물 산지 유통센터, 전국상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도 전개한다.
디지털 기술로 지방 주민의 생활과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2027년까지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회간접자본(SOC)을 300개 이상 신규 확충한다.
예컨대 지방 농어촌의 ‘스마트빌리지’ 사업을 확대하고, 특히 내년부터는 주민 안전, 복지 사각지대 지원, 지역경제 활기 회복 등의 과제를 중점 발굴해 지방주민 체감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지방 하수시설의 가상화를 통해 도시 침수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지역 특화산업 메타서비스 보급, 지역 병의원 의료데이터 기반 AI 진단솔루션 보급, AI 초기 복지 상담 서비스 등을 추진한다.
디지털 일상화 시대에 대비해 농어촌 주민의 디지털 활용능력을 일반국민의 수준까지 향상키로 한 가운데 주민센터, 경로당, 도서관 등에서 전 국민 대상 디지털 종합역량 교육을 제공하는 ‘디지털 배움터’는 에뮬레이터앱 개발로 교육수단을 확대하고 교육과정 선정, 사업관리 평가 등에 대한 지자체 자율성을 강화한다.
또한 지역 초중등 SW교육의 구심점인 ‘SW미래채움센터’ 교육 지원의 50% 이상을 도서벽지, 산간 등 지역 내 소외지역에 우선 안배키로 했다.
디지털 인재 양성체계+정책 추진체계 구축
전체 디지털 학과 전공자의 50% 이상을 배출하는 지방대학이 지방 디지털 생태계의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선도 지방대학’을 육성한다. SW중심대학 등 디지털 인재양성사업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지자체 주도로 연계해 지방 디지털 기업 성장에 주축 역할을 하는 지방대학 인재의 육성 체계를 구축한다.
2027년까지 비학위 디지털 고급 전문 교육과정의 60% 이상을 비수도권에 안배해 지방기업이 수요로 하는 현장형 디지털 인재를 확충한다. ‘이노베이션아카데미’는 권역별로 확산하고 ‘이노베이션스퀘어’를 통해 지역산업 수요 기반 실무 디지털 교육을 강화한다. 지방의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SW마이스터고 신규 지정, AI영재학교 신설도 추진한다.
디지털 혁신이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아젠다로 격상되도록 디지털 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전국 21개 지역 SW산업진흥기관이 지역 내 디지털 씽크탱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존 SW산업 진흥에 한정된 역할 범위를 디지털 혁신 전반으로 확대하고, 지역 디지털 전략위원회를 운영하는 동시에 지방시대위 내에 가칭 지방디지털화특별위원회를 신설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지방시대委, 김광림 전 의원 등 17명 1기 위원 위촉2023.09.13
-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 정부·지자체 머리 맞댄다2023.09.11
- 지방시대 대전환…광주에서 첫 걸음 뗐다2023.08.16
- 디지털플랫폼정부 비전, 중앙정부 넘어 지방으로 확산2023.07.03
이밖에 정보통신산업진흥법 개정을 추진해 명시적인 법적 근거 마련에도 나선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으로 지방의 자율성을 최우선에 두고 각 지방만의 특색있는 디지털 성장전략의 지원을 통해 지방에서도 창업에 적극 도전하는 인재와 글로벌 스타트업을 배출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디지털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