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오픈 플랫폼화가 관건"

[2023 디미혁] 송호철 더비즈온 플랫폼 사업부문 대표, 디플정 진단 및 추진방향 컨퍼런스 발표

디지털경제입력 :2023/09/25 20:05    수정: 2023/09/26 16:27

“디지털 플랫폼 정부 지정의 DPG 허브에서 목표는 정부의 인터페이스나 기능들을 오픈 플랫폼화해서 기업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정부의 사이트와 연계해 국민들이 익숙하게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대표는 '2023 대한민국 디지털미래혁신대전(디미혁 2003)’에서 성공적인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DPG 핵심기술 과제를 발표하면서 정부가 개선해야 할 점을 이같이 설명했다.

송 대표는 지금까지 정부 부처 플랫폼을 부동산 개발에 비유했다.

송호철 대표는 “1987년 6대 행정전산망 이후 수많은 혁신이 있었고 짧은 시간 안에 만들어야했다”며 “이 때문에 전체 아키텍처를 고민할 시간이 없었고 각 부처가 필요한 땅을 배정받아 인프라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같은 것을 배정받아 그 위에 구현해왔다. 이렇게 난개발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호철 더비즈온 플랫폼 사업부문 대표, 디플정 진단 및 추진방향 컨퍼런스 발표 (사진=지디넷코리아)

이렇게 20년간 개발이 진행되면서 시스템은 서울 도심과 같이 난개발 지역이 됐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의 기능이 하나의 플랫폼으로 동작하도록 만들고자 고안됐다.

송호철 대표는 “이 시스템 개발이 더 이상 각각이 아닌 하나의 플랫폼처럼 움직여 국민 중심으로 여러 부처 데이터가 맞춤형으로 필요한 것을 제공해야한다는 것”이라며 “깨끗하고 완벽한 도시설계(사이트 구축)를 위해 많은 전문가가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송호철 대표는 이 과제를 우선 해결하기 위해 DPG 허브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 대표는 “우선 기전 정부 시스템들이 분리돼 있던 것을 하나로 연결하고 이 데이터를 외부가 사용할 수 있게 공유하도록 해야한다”며 “지금까지 정부의 혁신은 국민이 사용할 수 있게 열었던 것인데, 이제 창구를 오픈해서 민간의 수많은 혁신이 그 창구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게 오픈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송호철 더비즈온 플랫폼 사업부문 대표, 디플정 진단 및 추진방향 컨퍼런스 발표 (사진=지디넷코리아)

지금까지 기업들은 각각 서비스를 만들어왔다. 하지만 클라우드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업이 모든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아닌 각자의 강점을 강화하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송 대표는 “스타트업들은 자기의 경쟁력이 필요한 부분만 만들고 나머지는 끌어다쓴다”며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바이더들이 빌딩 블록을 제공하고 이 기업들은 레고 쌓듯 이걸 사용한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현재 정부가 목표로 하는 DPG 허브는 이 모든 것을 연결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블록 제공자가 되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정부 각 부처를 초월하는 전담 조직이 필요하다.

송호철 대표는 “각 부처가 따로따로 기능이 있다 보니 서로 협력해서 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영국과 싱가포르는 최고기술경영자(CTO)가 있어 부처를 초월하는 전담 조직이 있는데, 한국도 이런 전담 조직과 체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