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산업 혁신한 카카오모빌리티, '생성형AI 모빌리티' 시대 연다

누적된 모빌리티 역량에 인공지능 기술 적용

인터넷입력 :2023/09/08 19:56    수정: 2023/09/09 08:44

“그간 우리는 분절된 정보를 하나로 연결하고, 디지털화하는 데 집중해 왔다. 그 결과 길에서 잡던 택시나 전화로 부르던 대리기사를 디지털기기로 이식했다. 앞으로도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연계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새로운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8일 ‘넥스트모빌리티(네모)’에서 이렇게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네모 2023을 열고, AI 기반 기술과 서비스 비전을 제시했다.

유 CTO는 “한국은 전 세계에서 보기 드문 자국 토종 플랫폼이 주권을 확보한 나라”라며 “빅테크와 경쟁하고자 카카오T 택시를 출범한 데 이어, 오프라인 운송 산업을 디지털화하며 국내 모빌리티 시장에 혁신을 불러일으켰다”고 운을 뗐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가 8일 '넥스트모빌리티'에서 환영사와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T 등장으로 데이터 축적과 정보처리기술 등이 고도화해, 이용자는 여러 양질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됐고 서비스 공급자의 경우 늘어난 수요를 바탕으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며 결과적으로 모빌리티 플랫폼 생태계가 진일보했다고 유 CTO는 설명했다.

거대언어모델(LLM)이 업무 효율성 제고에 있어 강점을 나타내지만, 아직 모빌리티 영역에서는 보완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유 CTO는 “LLM은 거리나 시간을 계산하고 위치를 추정하는 데 약점이 있다”며 “우리가 쌓아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 모빌리티 엔진을 테스트하고 있고, 내년 상반기 서비스에 녹여낼 계획”이라고 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한 자체 운송관리시스템(TMS)과 라우팅·배차 엔진 등 역량과 AI 기술을 결합한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를 구축한다는 시나리오다. 유 CTO는 “이동 수급에 있어, 한층 발전된 AI가 도입되는 시기가 곧 올 것”이라면서 “AI가 맥락을 이해하고 정보를 처리해 수요를 발현하고, 공급에서는 자율주행과 로봇 배송 등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AI가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올리버 레츠버그 구글 AI·데이터 제품 담당 부사장 역시 “기업들이 AI 기술력을 높이고 서비스를 구현하려면 데이터가 중요하며 이를 체계·내재화하기 위해선 기반 플랫폼이 필요하다”며 “플랫폼을 거점삼아 이용자 맞춤형 AI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가 8일 '넥스트모빌리티' 행사에서 기조 연설하고 있다.

카카오 택시(카카오T)에 생성AI를 접목시킨 서비스도 준비한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이날 연내 공개 예정인 LLM ‘코지피티2.0’ 중간학습 버전을 공개하고, “전문성을 더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일두 대표는 “이용자가 나눈 이야기를 토대로 맥락에 맞는 최적화된 모임 장소를 추천하고, 식당 예약부터 장소까지 빠른 이동 경로를 제시할 것”이라며 “마지막에는 택시 호출까지 자연스레 연동되는 식”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네모는 모빌리티 플랫폼 업계 기술 컨퍼런스로 지난해 2월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렸다. 이날 네모 행사장에는 ‘이동 빅데이터 -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 AI기술 간 연계성'을 시각화한 AI 랩(AI LAB) 테마관이 마련되기도 했다.

측위와 센서 퓨전 기술이 접목된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 모듈로 지상과 상공에서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는 아르고스(ARGOS) 시리즈와 도심항공교통(UAM) 이동체인 UAM 기체 목업, LG전자 통합자율주행 로봇 등도 전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