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수출의 동반 부진으로 올해 성장률이 1.3%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 2023년 3분기 보고서'를 발표하며 우리 경제가 연내에 경기 부진 흐름을 반전시키기는 힘들 것으로 분석하며 이같은 전망을 내놓았다.
1.3%는 금융위기(2009~2011), 코로나19(2020~2021) 등 경제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실적이다.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1% 성장에 그치며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실적부진으로 인한 명목임금상승률 정체, 고물가 등으로 인한 실질구매력 약화로 소비여건이 극도로 위축되면서 하방압력이 강화되고 있다. 금리급등에 따라 가중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등 구조적 원인 역시 민간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마이너스(-)성장을 지속해 온 설비투자는 내수침체와 글로벌 경기위축에 따라 반도체 등 IT부문 외 투자가 모두 급감하면서 –2.3% 역(逆)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건축부문의 공사차질과 부동산PF 부실 등 불안요인이 해소되지 못하며 –0.7%의 감소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출 역시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까지 일부 지연되고 있어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내 경기부진에 따른 수입감소폭이 수출감소폭을 뛰어 넘으면서 경상수지 흑자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요압력 저하 및 원자재가격 하락으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5.1%)보다 1.8%p 낮아진 3.3%로 전망됐다. 다만, 폭염과 장마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최근 급등한 국제유가로 인해 소비자물가의 하락세는 다소 완만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경제위기 시마다 경기반등의 효자역할을 해주었던 수출도 중국 및 주요국의 경기반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연내에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 전경련, ‘한국경제인협회’ 새 회장에 류진 풍산 회장 추대2023.08.07
- 韓 상장사 5곳 중 1곳, 이자 갚기도 버겁다2023.05.22
- 새해 경제키워드…‘토끼굴에 빠진’ 경제2023.01.11
- 한국은행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0.1%p 내린 1.6%"2023.02.23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가 올해 안에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라며 “중국의 경기반등 무산으로 인한 영향이 미국 등 주요 교역국으로 파급된다면 성장률은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이어 “경기불황과 고금리 상황 지속에 따라 연체율 급등 및 금융기관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기 시작했다"며 “불안감을 더해가고 있는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예기치 못한 금융시장의 충격이 경제시스템 전체의 위기로 확대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