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혁신에 진심인 의사들 "큰 그림 그리자"

[김양균의 메드테크] ⑤한-덴마크 병원 네트워크 ‘첫발’(상)

헬스케어입력 :2023/05/22 18:03    수정: 2023/05/23 08:02

메디컬 테크놀로지(Medical Tech)란 질병 예방·진단·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관련 산업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김양균의 메드테크’는 기존 정의를 넘어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의료 기술을 도입하거나 창업 등에 도전한 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스토리다. 지디넷코리아는 한국과 덴마크의 의료인들의 의료 혁신을 위한 고민과 노력, 협력을 조명한다. [편집자 주]

[코펜하겐(덴마크)=김양균 기자] “제발 좀 멀리보자.”

‘병원 혁신’에 제법 진심인 의사들이 입을 모아 이렇게 말했다. 환자에게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 인력의 효율적 활용과 불필요한 의료지출 감축, 그러면서도 더 쾌적한 공간으로써의 병원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한국-덴마크 병원 네트워크’에 참여한 국내 의료진들은 덴마크 정부의 도움으로 지난 8일부터 현지 올보그병원·오르후스병원·릭스왕립병원·오덴세병원 등을 방문해 그들의 병원 혁신 사례를 접할 수 있었다. 기자도 동행해 그 과정을 보고 기록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공식 일정 이후 기자는 의사들과 ‘잡담회’를 가졌다. 던진 질문은 단 두 개. ‘상’편은 덴마크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병원 혁신 방향이다.

사진=김양균 기자

혁신할 분위기를 만들어준다는 것

▲장우영 고려대안암병원 디지털헬스케어센터 부센터장 : 덴마크 정부와 의료기관은 협동해서 함께 가려는 문화가 있었다. ‘무엇인가를 이뤄내자’는 가치 아래 여러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추진하고, 이를 위해 병원을 새로 짓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인상적이었다.

올보그 대학병원에 방문했을 때 수많은 컨베이어벨트가 있어서 의아했는데, 게팅게 등 관련 병원시스템 구축 기업을 가보니 병원에서 움직이는 모든 것들이 다 연동돼 있더라.

덴마크가 우리나라에 비해 적은 인구에도 복지국가에 글로벌 기업이 다수 건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국가 단위로 뭔가를 구축하고, 이를 위한 단일한 추진 덕분이 아닐까.

(가운데부터) 곽정면 고려대안암병원 디지털헬스케어센터장(대장항문외과 교수), 장우영 고려대안암병원 디지털헬스케어센터 부센터장

▲곽정면 고려대안암병원 디지털헬스케어센터장(대장항문외과 교수) : 4개소의 병원을 방문해 관찰한 것은 일부이고, 만났던 사람과 부서도 제한적이라는 한계는 존재한다. 

덴마크 전체 의료기관 뿐만 아니라 실제 방문했던 병원들조차 전체를 다 이해했다고 말할 순 없다. 그럼에도 덴마크 정부의 큰 방향을 따라서 큰 그림으로 병원 혁신이 추진되고 있다는 점은 확실했다.

정부가 어떤 문제점을 파악해 ‘이런 방향으로 가자’고 정책을 결정하면 모든 의료자원들이 다 같이 그쪽으로 따라가는 방식으로 말이다. 반면, 병원들이 경쟁을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덴마크의 방식이 실현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관건은 두 나라가 고령화, 의료 지출 증가 등의 동일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고, 의료 및 병원 혁신을 통해 해결책을 찾고 있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코펜하겐 헬스테크 서밋 2023’에서 덴마크뿐만 아니라 유럽 여러 나라의 정책 당국자들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응을 위해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오른쪽) 기현정 충남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

▲기현정 충남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 : 일본은 경제 규모에 비해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매우 뒤떨어져 있다. 우리나라는 의료공급자 및 기업이 중심이 돼 디지털 전환이 매우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그렇지만 정부의 규제혁신은 갈 길이 멀다. 이는 기업이나 연구자로 하여금 자본 및 연구역량 투자의 정도를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든다. 이런 지지부진한 혁신이 종국에는 발목을 잡지 않을까.

그렇지만 덴마크에서는 병원 혁신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인프라나 사회적 공감대가 잘 형성돼 있었다. 이것이 우리와의 차이다. 우리는 혁신에 대한 담론부터 무르익어야 한다.

▲이미연 한림대성심병원 커맨드센터장(방사선종양학과 교수) : 덴마크 주민등록증에 바코드가 있다는 점이 가장 부러웠다. 우리나라에서 외래진료를 보다보면 자신의 주민번호를 외우지 못하시는 어르신들이 적지 않다. 덴마크는 이런 시스템을 오래전부터 적용해왔다. 즉, ‘기본 틀’이 갖춰져 있으니 여기에 새로운 기술을 더하기 좋은 구조란 말이다.

우리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병원 혁신을 추진하지만, 정작 현장에서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관련 정책도 아쉽다. 그나마 정부 과제를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지만, 과제를 받지 못한 병원들의 혁신은 보이질 않는다. 병원 혁신과 디지털 전환에 대해서도 의료기관 사이에 양극화 현상이 우려된다.

덴마크는 의료기관들이 어느 정도 협력하고 같이 나갈 수 있는 관계였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정부 정책 단계에서의 병원 혁신은 크게 와 닿지 않고, 각 병원들이 고군분투하고 있음에도 이 노하우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점이 아쉬웠다.

(왼쪽부터) 이미연 한림대성심병원 커맨드센터장(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오응석 충남대병원 기획조정부실장(신경과 교수)

▲오응석 충남대병원 기획조정부실장(신경과 교수) : 사안을 근시안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더 장기적으로 멀리 바라보며 해결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덴마크의 정책들이 부러웠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 말이다.

관련기사

또 공공 의료데이터를 바탕으로 양질의 연구가 도출된다는 것은 데이터가 동일한 형식으로 잘 정리가 돼 있다라는 의미다.

덴마크의 경우, 국민이 의료서비스를 받을 때 돈을 지불하지 않는다. 이러한 환경에서 환자 진료가 이뤄지기 때문에 가감 없이 진단 및 치료가 이뤄질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되는 의료데이터는 보험 수가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은 우리 의료 환경에서 여러 이해관계가 반영되어 도출되는 건강정보보다는 조금 더 순도가 높지 않을까.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