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1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6% 감소한 462억7천만 달러에 머물렀다. 수입은 2.6% 감소한 589억6천만 달러, 무역수지는 126억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문동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은 1일 “고물가·고금리 지속 등으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반도체 업황이 악화하면서 1월 수출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문 실장은 “주요 수출국인 중국·베트남 등도 글로벌 경기둔화 영향으로 중국·아세안 수출도 감소했다”며 “지난해 1월 수출이 2021년 1월보다 15.5% 증가하며 역대 최고실적인 554억6천만 달러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주요 품목 중에서는 자동차·이차전지·석유제품·선박·무선통신 등 품목은 수출이 증가했다. 자동차(49억8천만 달러·21.9% 증가)와 이차전지(8억 달러·9.9% 증가) 수출은 역대 1월 최고실적을 기록했고, 선박(14억4천만 달러·86.3% 증가) 수출은 고부가선박 수출증가에 힘입어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무선통신은 17.9% 증가한 15억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에 반도체(60억 달러·44.5% 감소)를 포함한 석유화학(37억9천만 달러·25% 감소), 일반기계(38억6천만 달러·15.8% 감소), 철강(27억1천만 달러·25.9% 감소), 디스플레이(12억7천만 달러·36% 감소), 바이오헬스(11억1천만 달러·33.5% 감소), 컴퓨터(5억2천만 달러·63.8% 감소), 가전(5억9천만 달러·19.9% 감소) 등 주요 품목은 수출이 감소했다.
특히, 반도체는 수출비중이 큰 D램·낸드 등 메모리반도체 제품 가격이 수요약세와 재고누적 등의 영향으로 급락하면서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또 지속적인 수출 증가세를 보인 시스템반도체도 25% 감소했다. 반도체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에서도 46.6% 감소했다.
산업부는 주요 반도체 제품가격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신규 서버 CPU 출시 등의 영향에 힘입어 하반기 이후 반등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는 생산차질 완화에 따른 대기수요와 친환경차·SUV 등 고부가차량 수요 확대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등에 힘입어 역대 1월 중 수출 1위를 기록했다.
선박은 지난해 1월 낮은 기저(7억7천만 달러)와 대형컨테이너선·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 증가 영향으로 전년보다 수출이 86.3% 증가했다. 다만 수주에서 인도까지 소요되는 시차(약 2년)로 2021년 하반기 수주물량은 수출에 반영하지 않았다.
이차전지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될 전망이다. 1월에도 9.9% 증가세를 이어가며 역대 1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세계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에도 EU가 자동차 수출 확대에 힘입어 수출이 10.5% 증가했고 중동은 자동차 외에 인프라 투자와 밀접한 철강·일반기계 등이 증가하며 2022년 11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 산업부, 내년 수출 6800억달러·100조 설비투자 목표2022.12.27
- 메모리 죽 쑬 때 시스템반도체 날았다…왜?2022.12.15
- 산업부, 美에 '반도체 중국 투자 제한' 의견 전달2022.12.01
- 반도체 수출액 100억달러 붕괴…석달째 줄어2022.11.14
핵심 수출 시장은 중국과 베트남은 경기둔화 영향으로 모두 감소해 중국·아세안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고금리·고물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세계경제 하방리스크 확대 속에서 1월 수출이 감소했다”며 “대규모 무역적자는 우리 경제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관련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