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페트병 재활용 순찰복 착용…탄소배출 저감

순찰복 동복·춘추복·하복 제작…2만2465벌 순차 보급

디지털경제입력 :2023/02/01 08:27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1일부터 현장근무 직원이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친환경 순찰복을 착용하고 근무한다고 밝혔다.

친환경 순찰복은 버려지는 페트병에서 생산한 재생 섬유로 순찰복 상의 3종(동복, 춘추복, 하복)을 제작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친환경 순찰복 제작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2달 동안 전국 국립공원 현장직원을 대상으로 시범 착용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착용자 의견 등을 반영해 활동성과 기능성 부분을 개선했다. 올해 10월까지 전국에 있는 국립공원 전 직원에게 순찰복 2만2천465벌을 순차적으로 보급할 예정이다.

국립공원공단 직원들이 페트병 재활용 친환경 순찰복을 착용하고 페트병을 들고 있다.

순찰복 1벌 당 평균 13개의 폐페트병이 사용된다. 올해 보급하는 순찰복에 쓰인 폐페트병 수는 약 29만2천여개로(500㎖) 추정된다. 500㎖ 페트병 29만2천개를 재활용하면 약 3천122㎏의 탄소저감 효과가 발생한다.

해당 순찰복에 사용한 친환경 소재는 공인 시험기관인 FITI시험연구원 검사 확인을 거쳤다. 재생 섬유 함유량은 동복 상의 38%, 춘추복 상의 40%, 하복 상의 58%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이번 친환경 순찰복을 국민이 직접 착용해 볼 수 있도록 국립공원공단 본사 홍보관과 치악산국립공원 체험학습관에 1일부터 28일까지 친환경 순찰복 착용 체험관을 운영한다.

관련기사

또 기존에 실시한 친환경도시락과 야영장 다회용기 대여 서비스를 비롯해 친환경 순찰차량 운영 등 탄소중립 정책을 지속해서 강화할 계획이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은 환경에 대한 상징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에 이번에 제작한 친환경 순찰복을 모범적으로 착용해 탄소중립에 앞장서겠다”며 “앞으로 순찰복 뿐만 아니라 근무복 등 다른 종류 복제에도 친환경 의류 확대 도입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