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축의금 액수는 얼마?..."호텔 예식 5만원냈으면 '노쇼' 센스"

생활입력 :2023/01/16 13:32

온라인이슈팀

'얼마를 내야할까', 결혼 축의금 액수는 모든 이들의 고민이다.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 '5만원만 내고 8만8000원짜리 밥을 먹더라'는 등의 글이 올라온 가운데 적절한 축의금 수준에 대해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식대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내 놓았다.

최수아 디자이너 ⓒ News1 DB

이 교수는 16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축의금은 예로부터 상호 부조하는 일종의 품앗이 역할을 했지만 물가가 올라 돈 내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부담이 됐다"고 지적했다.

축의금 규모에 대해 이 교수는 "1년 전에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2030대 미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3.3%는 10만원 미만, 45.3%는 10만원에서 20만원 사이로 평균 7만8900원 정도였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식대가 뷔페 같은 경우 일반예식장도 1인당 평균 7만원, 호텔 등 코스로 나올 경우엔 14만원이 넘는다"라며 평균액수만 내고 뷔페를 먹기에는 부담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따라서 "결혼을 하는 입장, 돈을 내는 입장 등 서로의 입장을 좀 배려하면 좋겠다"고 했다.

어느 정도가 적정하냐에 대해 이 교수는 "밥값을 생각해서 10만원 내기는 부담스럽다면 5만원만 내고 노쇼(결혼식 불참) 한다"라는 안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즉 "결혼식 비용, 물가가 많이 올랐기에 참석할까 말까 결정을 할 때 식대가 얼마쯤 될까 그걸 좀 고민을 해 적어도 자기 식대보다는 좀 더 많이 축의금을 낼 수 있다(면 참석하고 아니라면 축의금만 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며 "그렇게 좀 조절하는 게 어떨까"라고 밥값을 보고 축의금 액수와 참석여부를 정하는 것이 서로간 좋을 것이라고 했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