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모델3 등 파워윈도 SW 오류…자발적 리콜

국토부, 현대·기아·테슬라·벤츠 등 6개사 35개 차종 49만3천여대 시정조치

카테크입력 :2022/10/27 06:00    수정: 2022/10/27 08:29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기아·테슬라코리아·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폭스바겐그룹코리아·피라인모터스가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35개 차종 49만3천152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27일 밝혔다.

현대자동차·기아에서 제작·판매한 스포티지 등 2개 차종 17만7천681대는 전자제어 유압장치(HECU) 내부 합선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또 쏘렌토 등 6개 차종 16만2천918대는 변속기 제어장치 안전모드 관련 소프트웨어(SW) 설계 오류로 변속기 오일펌프 불량 시 변속이 되지 않아 사고를 유발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싼타페 등 5개 차종 9만6천363대는 앞좌석 안전띠 조절장치 내부 부품(가스발생기) 불량으로 충돌 시 부품이 이탈돼 뒷좌석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확인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

스포티지 등 2개 차종은 31일부터, 쏘렌토 등 6개 차종과 싼타페 등 5개 차종은 27일부터 현대자동차 하이테크센터와 블루핸즈에서 각각 무상으로 수리(개선된 부품 교체 등)를 받을 수 있다.

테슬라코리아가 수입·판매한 모델3 등 2개 차종 4만3천582대(판매이전 포함)는 파워윈도 시스템 SW 오류로 창유리가 닫힐 때 장애물에 닿은 경우, 닫히기 전 위치로 돌아가지 않거나 덜 열릴 수 있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돼 우선 수입사에서 자발적으로 리콜을 진행하고, 추후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해당 차량은 11월 1일부터 개선된 SW로 원격 자동 업데이트를 실시한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수입·판매한 GLE 450 4MATIC 등 10개 차종 9천439대는 뒷문 창틀(트림 바) 고정 불량으로 주행 중 해당 부품이 차체로부터 이탈돼 뒤따라오는 차량 안전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됐다. 또 C 300 등 4개 차종 1천712대는 후방 전기신호 제어장치(Rear SAM·Signal Acquisition and actuation Module)) 방수 불량으로 수분이 유입돼 전기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돼 자발적 리콜에 들어간다.

GLE 250 4MATIC 35대는 자동차 안정성 제어장치의 외관 손상으로 수분이 유입돼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안전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 차량은 28일부터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점검 후 부품 교체 등)를 받을 수 있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Touareg 3.0 TDI 등 3개 차종 1천243대(판매이전 포함)는 앞면 창유리 서리제거장치의 전기 보조히터 미설치로 서리 제거가 제대로 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국토부는 우선 수입사에서 자발적으로 리콜를 진행하고, 추후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olf 8 2.0 GTI 97대(판매이전)는 냉각장치(라디에이터) 고정 불량으로 냉각수 호스가 V-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돼 냉각수 누수로 엔진이 과열될 가능성이 확인됐다.

해당 차량은 28일부터 폭스바겐그룹코리아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개선된 부품 교체 등)를 받을 수 있다.

피라인모터스가 수입·판매한 하이퍼스11L 전기버스 82대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자기인증적합조사 결과, 승강구 수동 열림 장치의 설치 위치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돼 우선 수입사에서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를 진행하고, 추후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해당 차량은 28일부터 ㈜피라인모터스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부품 수리)를 받을 수 있다.

이번 결함시정과 관련,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이나 휴대폰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결함시정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