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센터장이 사태 수습 전면에 나서야

[이균성의 溫技] 사과는 수습의 첫걸음

데스크 칼럼입력 :2022/10/18 14:07

15일 발생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고와 이에 따른 카카오의 여러 서비스 불통 사태는 대란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 중소 협력사와 이용자의 피해와 불편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조차 힘든 상황이다. 사고 나흘째지만 아직도 복구되지 못한 서비스가 있다. 국내 최대 IT 사고로 기록될 수 있다.

사고는 예방이 최선이지만 인간사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예방 못지않게 수습하는 게 중요하다. 카카오는 그러나 이번 사고에서 예방과 수습 모든 측면에서 크게 지적받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이번 사고는 카카오의 서버가 집중돼 있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에서 비롯됐다. 사고 원인 제공자가 SK C&C란 이야기다. 카카오로서는 억울할 수 있다. 그러나 카카오가 억울하다고 보는 이는 거의 없다. 중소 협력사와 이용자는 SK C&C가 아니라 카카오와 계약을 맺고 서비스를 쓰기 때문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뒀던 네이버의 경우 서비스 장애가 상대적으로 작고 짧았던 것과 비교되며 카카오의 서비스 능력이 총체적으로 의심받는 상황이다. 이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났더라도 서비스 장애의 폭과 기간을 이처럼 늘린 건 카카오 탓이라는 이야기다.

거의 모든 국민이 매일 이용하는 서비스이고 온갖 데이터가 집중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저장 보호하는 데 기술적으로 소홀했고 투자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불가피한 장애에 대비해 데이터를 이중으로 저장하고 데이터센터를 이원화 하는 등의 조치가 이뤄졌는지 의심받는 것이다.

여러 이유로 장애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 기술 산업의 특성상 이와 같은 백업 대책을 갖추는 것은 상식에 가까운 일이다. 그렇지 않고는 느닷없이 발생할 수 있는 장애를 넘어갈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장애가 일어나도 그 시간을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줄이고 서비스를 재개하는 것이 사업자의 책임인 것이다.

이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0대 국회에서는 관련 법이 발의되기도 했다. 하지만 기술 산업에 대한 과도한 중복 규제, 글로벌 빅테크에 대한 역차별 등의 논리를 앞세운 로비에 막힌 바 있다. 그런데 어쩌랴. ‘카카오 먹통’ 방지라는 불명예스러운 딱지가 붙은 채 당시 법들이 다시 소환돼 잇따라 발의되고 있다.

사후 수습 방식에 대해서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무엇보다 총책임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안 보인다는 점이다.

국민을 상대로 한 대형사고가 터졌을 때는 총책임자가 신속하게 진심어린 사과를 하는 것이 백번 옳다. 그런 다음에 사고 경위를 설명하고 책임 있는 보상 방안과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하지만 카카오는 그러지 않았다. 기회가 있었지만 김범수 센터장은 아직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사고 다음날 관계부처 장관과 국회 상임위 의원들이 현장을 방문했고, 그 이튿날 대통령도 우려를 표명했지만, 김 센터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는 없었다. 그가 올해 3월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나며 경영 일선을 떠났긴 했지만, 여전히 카카오 그룹의 최대주주이고, 카카오 그룹의 총수인 것은 분명한 사실 아닌가.

다들 그의 입을 통해 사고경위와, 보상방안과 재발방지 대책을 듣고 싶은 것 아니겠는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어차피 24일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된 마당이다. 이미 설명할 수 있는 상당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겠는가. 국감 전에라도 사태 수습에 먼저 나서는 것이 백번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