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JWST) 우주망원경에 탑재된 여러 대의 관측 기기가 먼 우주에 있는 타란툴라 성운의 모습을 포착했다고 IT매체 씨넷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성명을 통해 "웹의 고해상도 적외선 장비가 함께 작동해 성운의 항성과 구조, 구성을 과거엔 불가능했던 수준으로 자세히 보여줬다"며, 타란툴라 성운의 사진을 여러 장 공개했다.
이 성운의 정식 이름은 30도라두스(Doradus)로,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했을 때 먼지와 가스 필라멘트들이 거미 모양을 형성해 ‘타란툴라’라는 별명이 붙었다. 대마젤란 은하에서 16만1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성운은 별이 끊임없이 형성되는 곳으로 알려진 곳이다.
제일 먼저 제임스 웹에 탑재된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관측한 타란툴라 성운의 모습이다. 파란 색으로 중앙에서 빛나는 것이 갓 태어난 젊은 항성들이다.
근적외선 분광기(NIRSpec)는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별 중 하나를 가까이서 관측했다. 이 별은 처음에는 성운의 거품처럼 보여 연구진들은 원래 이 별이 나이가 든 별이고, 중심에 있는 다른 별들처럼 주변의 거품을 제거하는 단계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번 관측으로 NASA는 “NIRSpec은 이 별이 성운 기둥에서 막 나오기 시작했으며 여전히 주변에 절연 먼지 구름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제임스웹의 MIRI(중적외선 기기)는 더 긴 파장의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성운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을 보여줬다.
MIRI 이미지는 성운의 중심 성단을 확대한 것으로, NASA는 "뜨거운 별은 사라지고 더 차가운 가스와 먼지가 빛난다"며, "별이 탄생하는 구름 내에서 빛의 점은 원시별들이 여전히 질량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더 짧은 파장의 빛은 성운의 먼지 알갱이에 의해 흡수되거나 산란되기 때문에 근적외선 카메라로는 탐지가 어렵다. 하지만, 중적외선 기기는 먼지를 관통해 관측이 이뤄지기 때문에 이런 모습의 관측이 가능했다.
관련기사
- 제임스웹이 포착한 목성…"오로라, 고리 다 보여" [우주로 간다]2022.08.23
- 허블 우주망원경, 목걸이 성운 사진 공개 "우주 보석 같네"2021.05.04
- 다누리가 찍은 달 사진, 왜 흐릿한 흑백일까2022.09.02
- 中, 메가와트급 우주 원자로 성능평가 마쳤다2022.09.02
제임스 웹은 미 항공우주국(NASA), 유럽 우주국(ESA), 캐나다 우주국(CSA)가 합작한 초대형 우주망원경 프로젝트다. 지난해 12월 25일 발사된 웹은 지구에서 160만km 떨어진 라그랑주2(L2, 지구와 태양간 중력이 없어지는 지점)에서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NASA는 "제임스웹은 이전에 본 적이 없는 우주를 이미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항성 창조 이야기를 다시 쓰기 시작했을 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