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100만 디지털 인재, 공급 과잉 아니다"

컴퓨팅입력 :2022/08/23 16:33    수정: 2022/08/23 16:38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 계획관련 우려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부문, 8개 세부분야 실태조사 등을 기초로 향후 5년간(’22~’26)의 필요 인력 규모를 약 73.8만 명으로 추산했으며, 우리 사회‧경제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그 파급에 따른 여타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필요한 인력은 그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23일 밝혔다.

8개 세부분야는 인공지능(AI), 일반SW(블록체인 등 포함),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확장가상세계(AR, VR 포함), 5G‧6G, 빅데이터, 사이버보안 등 총 8개 디지털 신기술 분야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에 따라 일반 산업과 사회의 모든 영역에 걸쳐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역량을 갖춘 인재들의 수요는 급증할 것이고, 인재양성의 시차를 고려하면 지금부터 충분한 규모의 인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졸업생이 기존에는 IT‧SW기업에 주로 취업했다면 최근에는 은행, 금융감독원, 유통‧물류기업을 비롯해 패션분야에서 트렌드를 분석하는 등 IT저번이 확대됐다는 것이다.

더불어 디지털 전환 시대를 살아갈 미래세대와 모든 국민들이 디지털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은 국가의 책무를 다하겠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통해 학생(직업계고 학생, (전문)대학생, 대학원생 등)뿐만 아니라 구직자, 재직자 등도 직업교육훈련과 전환교육을 통해 디지털 인재로 양성할 계획이다.

이번 100만 명 인재양성 목표 중 학교(대학 등)가 주관하는 규모는 약 52%, 학교 외 기관(기업, 직업훈련기관 등)이 주관하는 규모는 약 48%다.

첨단 분야에 정원 제도를 개선한 것은 수도권 대학에만 특혜를 줄 의도가 아니라, 디지털 인재양성 역량이 충분한 모든 대학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는 의미다.

비수도권에서도 디지털 인재양성에 대한 역량과 의지가 있는 대학에 대하여는 강점 분야를 중심으로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사회관계장관회의,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 등 범부처 협업체계를 통해 정책과제별 추진상황과 디지털 분야 인재의 수요와 공급 상황을 함께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시 보완대책을 마련하는 등 이번 방안을 이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으로 디지털 소양이 미래세대의 핵심역량이 됨에 따라 ‘2022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정보교육을 확대하는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권역별 핵심교원 연수, 학생․학부모 공감&소통 콘서트, 공청회 등 대국민 의견수렴을 통해 정보 교육과정 강화를 추진하는 총론 주요사항을 발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부담 없이 코딩교육을 포함한 정보교과수업 등 디지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2022개정 교육과정’ 추진과정에서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학교에서 디지털교육도 정보교과 수업(초 34시간 이상, 중 68시간 이상)을 기반으로 학교자율시간 및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디지털 활용 역량을 키우며, 교과 융합 학습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확장하도록 지원하여 사교육과 차별화되는 학교교육의 혁신 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는 재교육을 통해 기존 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중등교사는 2025년부터 증가될 정보교과 시수에 맞춰 중장기교원수급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정보‧컴퓨터교과 교사자격증 발급 규모는 연간 516명(2019~2021년 평균) 수준이며, 교원 신규임용도 연간 174명(2020학년도~2022학년도 평균) 수준이다.

과기정통부 측은 초‧중등교육부터 고등‧평생교육에 이르는 전주기적 교육 시스템 내에서 질 높은 디지털 교육의 충분한 기회를 보장하여 추가적인 사교육 부담을 갖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