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제안 오픈랜 연동규격 표준 승인

국내 5G 무선망 환경 반영한 연동 규격

방송/통신입력 :2022/08/10 08:59

KT(대표 구현모)가 오픈랜얼라이언스 회의에 제안한 오픈랜 연동 규격이 표준 승인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KT는 지난 6월1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에서 열린 오픈랜 표준 회의에서 오픈랜 연동 규격의 표준화를 제안했고, 오픈랜얼라이언스의 검토를 거쳐 표준 승인을 받았다.

KT가 제안한 오픈랜 연동 규격은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개발된 5G 기지국의 분산장치(DU)와 무선장치(RU)를 하나의 5G 기지국처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규격이다. 그간 오픈랜얼라이언스에서 정의된 DU와 RU 간 개방형 인터페이스는 국내 5G 무선망에 직접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KT는 오픈랜 연동 규격에 ▲상하향 타임슬롯 구성비율(TDD Configuration) ▲10Gbps 광회선 지원을 위한 데이터 압축률 등 실제로 국내 5G 무선망 환경에서 사용 중인 설정값과 구성방식을 반영했다.

상하향 타임슬롯 구성비율은 국내 5G 무선망에서 송신과 수신 간 간섭을 막기 위해 송수신 채널을 분리하는 시간 비율이다. 데이터 압축은 기지국의 DU와 RU 간의 연결인 프론트홀로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하는 기술이다.

오픈랜 연동 규격의 표준화로 각기 다른 제조사의 DU와 RU를 별도의 테스트 없이 상용 수준으로 연동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노후한 기지국 장비를 교체하거나 신규 국소에 장비를 새로 설치할 때 네트워크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이 외에도 KT는 ▲가상화 기지국 ▲프론트홀과 백홀 통합구조(X-Haul) ▲무선망 지능형 컨트롤러(RICr) 등 오픈랜 네트워크를 유연하게 구축하기 위한 기술들도 확보했다.

이종식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은 “오픈랜의 기술 지향점은 다양한 통신장비 제조사가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 구축”이라며 “KT가 확보한 오픈랜 기술력과 노하우를 공유해 국내 오픈랜 생태계와의 상생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