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앞으로 10년 동안 반도체 인재를 15만명 키우기로 했다. 반도체 특성화대학을 뽑고 학과 정원을 늘린다.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의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2031년까지 반도체 인재 15만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4만5천명,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에서 문·이과 융합 인재를 10만5천명 기르는 게 목표다.
정부는 10년 동안 반도체·세라믹, 신소재, 전자, 재료, 기계 5개 전공 졸업생을 45만명으로 추정했다. 여기에 평균 취업률과 산업 성장률을 반영해 4만5천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른 전공 학생과 재직자를 10만5천명으로 보고, 총 15만명을 반도체 인재로 키우기로 했다.
대학은 소재지와 상관없이 교원만 확보하면 정원을 늘릴 수 있다. 박 부총리는 “반도체 인재가 한국의 새로운 미래를 열도록 지역을 넘어서야 한다”며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반도체 인재 양성 역량이 있는 대학이라면 정원을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인재가 수도권에 쏠리는 데 반해 지역 균형 발전 논리가 부딪히는 상황이다.
정부는 대학이 현장 전문가를 겸임·초빙교수로 뽑을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기로 했다. 대학이 스스로 기준을 정하면 된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은 공개 채용, 연구 실적과 교육 경력 4년 이상 등의 조건을 뒀다.
정부는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에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2026년까지 20개교를 선발한다. 반도체 특성화대학은 우수 교원 초빙 인건비를 정부로부터 받는다. 상한가는 없다.
관련기사
- SK하이닉스, 서강대에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만든다2022.03.25
- SK하이닉스, 한양대에 반도체공학과 만든다2022.04.12
- 교육부 "반도체 인재 양성, 교육부 핵심 업무"2022.06.20
- 교육부, 서울대 반도체연구소서 인재양성 점검2022.06.20
반도체 비전공자는 6개월~1년 단기 교육 과정 ‘반도체 부트캠프’에 참여할 수 있다. 직업계고·전문대 졸업자는 일·학습 병행 교육 과정으로 현장에 바로 투입된다. 박 부총리는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는 게 이과만 우대하고 문과를 소홀히 하는 교육 정책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반도체 교육과 기초 연구를 튼튼히 하는 연구개발(R&D)도 필요하다. 정부는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를 거점으로 삼았다.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소장으로 있던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