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5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50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기술 융·복합형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2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1차 신규과제 수행기관(대학, TP 등)을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신규과제는 융합대학원 6개, 혁신연구센터 4개, 지역에너지클러스터 2개, 중견기업 특화 1개, 정책기반구축 1개 등 총 14개 과제다. 정부는 이번 과제에 2028년까지 7년간 약 550여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는 중견기업과 지역거점 대학이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해당 인재가 취업으로 연결되는 중견기업 특화 인력양성 과제를 최초로 추진한다.
선정 결과, 융합대학원은 서울대(방폐관리), 강원대(수소안전) 등 6개, 혁신연구센터는 풍력, DC그리드 2개 분야 4개 대학이 선정됐다.
관련기사
- 산업부, 전기안전 정책관리자 교육과정 신설2022.06.13
- 산업부, 인도네시아와 경제·통상 협력2022.06.10
- 산업부, 민간 탄소시장 활성화 제도설계 연구용역 중간 발표2022.06.09
- 산업부, 4000억 중견기업 지원펀드 조성한다2022.06.08
선정 수행기관들은 전담기관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과 협약체결을 진행 중이며, 추후 기술융합 교육과정 신설, 학과(전공) 개설 등에 착수할 예정이다.
천영길 에너지전환정책관은 “2025년까지 융합형 연구인재 3천명, 기업 수요에 기반한 현장 전문인력 5천명 등 총 8천명을 양성하는 등 에너지 혁신인재 양성에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