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현장 불 끄고 가스 탐지하는 소방 로봇, 국내는 아직 '걸음마'

실제 현장 투입은 초기 단계... 향후 화재 초동 대응·인명구조 지원 기대

디지털경제입력 :2022/05/10 16:40

지난 3월 미국 뉴욕소방국(FDNY)이 일명 '로봇개' 2 대를 구입해 주목받았다. 뉴욕소방국은 특수한 화재 진압에 로봇개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람보다 먼저 화재가 난 곳에 들어가 위험한 구조물 여부, 가스 농도를 측정할 예정이다.

로봇개의 이름은 '스팟'. 현대자동차가 인수한 보스턴다이내믹스가 만들었다. 키 84cm, 무게 25kg이며, 4족 보행한다.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사족보행 로봇 ‘스팟’ (사진=보스턴다이나믹스)

이 같은 소방 로봇은 국내외에서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19년 프랑스 노트르담 화재 때는 소방 로봇·드론의 활약이 돋보였다. 당시 샤크 로보틱스의 소방 로봇 '콜로서스(Colossus)'가 붕괴 위험이 있는 건물 내부에 투입됐다. 건물 외부에서 콜로서스를 원격제어해 발수했다. 건물 외부에서는 열 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을 띄우고 불길의 확산 과정을 파악했다.

콜로서스는 높이 0.76m에 무게 499kg이며, 리튬 이온 배터리로 전기 모터를 가동한다. 발수 외에도 부상자, 소방 장비 수송 등에 활용된다.

샤크로보틱스의 소방로봇 콜로서스(사진=샤크로보틱스 유튜브 채널 갈무리)

■ 초기 단계지만 유용성 기대

국내 소방 로봇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지난해 펴낸 보고서에서 "현재 재난현장에 로봇이 투입된 사례가 적고, 관련 기술개발이 초기 단계"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재난 대응 로봇이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위험 요소를 초기에 발견·제거해 적시적인 초동 대응, 인명 구조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소방 로봇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과 국내 기업의 움직임도 이어졌다. 지난해 소방청은 유해가스 방출 시 사람보다 로봇이 먼저 가스 탐지, 인명 수색하는 훈련 테스트베드를 개발했다. 소방청은 올해 소방 로봇 개발 의지를 담은 '소방발전 4.0'을 밝혔다. 화재 진압·인명 구조용 대형 드론, 소방관 진입이 어려운 화재 현장에 들어가는 소방 로봇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유럽에서 장갑차와 전투기 엔진을 결합해 초대형 소방차를 만든 선례를 참고하겠다고 했다.

국내 기업의 소방로봇 개발도 이어져 지난 1월에는 소방산업 전문기업 파라텍이 휴림로봇, 인공지능·사물인터넷 전문 기업 그랙터와 함께 소방로봇 개발을 성공했다. 파라텍 소방로봇은 열 화상 카메라로 불길을 파악해 소화액을 분사하고, 현장에 소방관이 도착하기 전까지 불길 확산을 막을 수 있다. 파라텍은 상용화까지 소방인증 획득, 관련 법 검토 등을 남겨두고 있다. 

■ 소방로봇 관련 국제 출원 증가세...기술 연구·현장 중심 개발 중요

소방 로봇과 관련한 화재안전관리기술 PCT 국제특허출원은 비교적 최근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화재안전관리기술 PCT 국제특허출원 공개 건수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36% 증가했다. 특히 로봇·드론을 이용한 소방장치의 출원 공개 건수는 2017년부터 2년 간 등록된 건수가 전체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증가세가 가파르다.

이에 관해 특허청 김재문 국제특허출원심사2팀장은 "무인형 화재안전관리기술은 장기적으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무인형 화재안전관리기술 PCT 국제특허출원 공개 현황 (자료=특허청)

전문가들은 소방로봇 활용도를 높이려면 관련 기술 개발, 소방 현장에 맞는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관련기사

국립재난연구원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AI, IoT, 5G, 자율주행, 드론 군집 비행 등 4차 산업혁명 요소 기술을 적용해 로봇의 현장 임무 수행 능력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로봇을 재난 현장에서 실제 구동하기 위해 연구계획 단계에서부터 현장 수요자의 참여와 다양한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철저한 현장 중심, 수요자 중심의 로봇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로봇응용연구부 박종원 연구원은 "로봇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현장 구조대원들과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 로봇 지휘 체계의 정립, 로봇 활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 법정 정비도 마련돼야 한다"고 보고서에서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