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과학기술‧ICT, 다시 혁신하겠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진행

방송/통신입력 :2022/05/03 11:01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과기정통부에 부여된 임무는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 과학기술과 ICT를 혁신하고 기술패권 경쟁과 디지털 대전환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과기정통부의 역할 수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과학기술 시스템 재설계 ▲초격차 기술 확보와 기초연구 강화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실현 ▲국가‧사회 전반에서 디지털 혁신의 전면화 등 네 가지 정책방향을 소개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이 후보자는 "지난 30여년간 반도체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과 산학 협력, 인재 양성에 전념했다"며 "그 과정에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표준 기술인 3차원 반도체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공 분야나 그간의 경험이 과기정통부의 역할과 업무 전체와 비교해 보면 작은 부분이 되겠지만 연구 개발, 산학 협력, 인재 양성에 대한 열정과 전문성만큼은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ICT 혁신 등에 있어 도움이 될 거라고 믿는다"며 "장관의 소임을 맡을 기회가 주어진다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분야를 뛰어넘어 사회 전반에 혁신의 물길을 일으키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네 가지 정책방향을 소개했다. 먼저 과학기술 시스템 재설계 분야에서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시스템으로 본격적으로 전환해 정책과정 전반에 민간의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 후보자는 "R&D 평가체계를 개선해 도전적‧창의적 연구와 실용화‧사업화 연구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시스템을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초격차 기술 확보와 기초연구 강화는 "국가 생존에 필수적인 반도체‧인공지능‧우주‧바이오 등의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전략적 투자를 강화하는 한편 기초연구에 대해서는 최대한 자율과 창의를 보장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실현 지원을 위해서는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메타버스‧클라우드 등 디지털 신산업을 선제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또한 데이터정책 컨트롤타워인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를 활용해 대국민 서비스도 개선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사회 전반에서 디지털 혁신의 전면화를 위해 네트워크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사이버보안 대응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 후보자는 방송통신 분야 이슈에 대해서는 "국민의 편익을 최우선에 두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균영감 있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