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배출 관리방안 모색

전문가 모여 탄소중립 실현 위한 국내 토지이용 관리 개선방안 논의

디지털경제입력 :2022/04/27 15:51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오는 28일 오후 오송컨벤션센터에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탄소흡수·배출 통계 구축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토론회는 국내 전문가들이 모여 기후변화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국내 토지이용(산림지, 습지, 정주지, 초지, 농경지 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흡수 관리체계에 관한 국내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탄소흡수원 관리체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전경

토론회는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동향 및 국내 대응 현황 ▲토지이용 유형별로 관리하는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 정보 현황 ▲산림분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 정보 구축 사례에 대해 전문가 주제발표 후 국가 온실가스 측정·보고·검증 체계의 추진 방향 제시를 위한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회원국으로 온실가스 배출목록(인벤토리) 보고서 및 투명성 보고서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해야 한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환경부와 관계부처는 통합적인 탄소흡수원 관리체계 구축 등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목록 보고서 정확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등 보고서 제출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 중이다.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산림지, 습지, 초지 등의 국가 탄소흡수원을 확충하고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탄소흡수 및 배출원 관리를 비롯해 객관적인 통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라면서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국제사회에서 인정받는 국가 토지이용변화 탄소흡수·배출 관리의 개선방안 마련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