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 안하면 유럽 수출 못해"

한국엡손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기업의 책임' 비대면 세미나 개최

디지털경제입력 :2022/03/29 16:35    수정: 2022/03/29 18:01

"유럽연합(EU)과 미국은 탄소국경조정세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물건을 싸게 만들면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에게 세금으로 불이익을 주겠다는 거죠. (탄소를 절감하지 않는 기업은) 유럽에서 제품을 팔 수 없을 거예요. 우리 기업은 앞으로 이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29일 오후 비대면으로 열린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기업의 책임' 에코 웨비나에서 정수종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가 이렇게 강조했다. 탄소국경조정세는 EU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입법안으로, 철강·전기 등 유럽으로 수입되는 5개 품목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에 관한 무역 관세다. 

한국엡손이 개최한 이번 세미나에는 김익수 환경일보 대표, 김대연 한국엡손 이사가 기후위기, 필(必)환경과 기업의 책임 등에 관해 발표했다.

한국엡손이 29일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기업의 책임 비대면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한국엡손)

■ "탄소국경조정세, 투명하고 과학적인 탄소절감으로 대응해야"

정 교수는 탄소국경조정세가 나온 배경으로 기후위기를 꼽았다. 18~19세기 산업 혁명이 일어난 뒤 지구 평균 기온은 1도 상승했다.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나온 탄소가 주 요인이다. 

정 교수는 "한번 공기 중에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최대 200년 정도 머문다"며 탄소 절감 필요성을 강조했다.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약 54%는 바다, 숲 등 지구 환경이 흡수하지만, 나머지 약 46%는 공기 중에 남는다. 그는 "당장 오늘부터 탄소제로를 실천하더라도 이미 배출한 탄소 양이 있어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다"며 "빠르게 탄소중립을 달성해야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탄소국경조정세 등 기후위기 관련 세계시장 동향에 적응하기 위해 투명하고 과학적인 탄소 절감, 탄소 절감을 이끄는 실효성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상장 기업의 탄소 배출 등 기후 관련 공시 의무화 규정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 "기후위기 대응 안하는 기업은 투자 못 받을 것"

김익수 환경일보 대표는 '필(必)환경시대, 친환경기업으로 소통하기'란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김 대표는 "이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기업의 재무적 요소로 평가된다"며 "기업이 기후위기에 대응할지 말지는 선택사항이 아니다"고 말했다. ESG는 기업의 재무, 금융감독, 법적 책임과 연관있다는 설명이다.

ESG

김 대표는 '그린스완'을 들어 부연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2020년 초 기후위기로 인한 금융 위기를 뜻하는 그린 스완이라는 용어를 언급했다. 석탄 산업 등 기후위기를 야기하는 좌초자산은 투자를 받기 어려워지는 움직임과 연결된다.

이어 그는 최근 발표된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를 근거로 "탄소중립 달성을 노력하지 않는 기업은 더 이상 투자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형 녹색 분류 체계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자원 순환 등 6대 녹색 경제 활동 기준이다. 민간·공공 자금이 투자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김 대표는 마지막으로 기후위기에 특히 취약한 한국 상황을 들어 탄소 절감 필요성을 제고했다.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2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하위권이다. 세계 곳곳에서 기상악화와 자연 재해로 곡물가격이 급등하면 바로 영향을 받을 위험이 높다. 

김 대표는 "기업, 시민, 지자체가 협력해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면서도 "기업에서는 탄소 절감을 향한 최고경영자의 의지, 지속적인 재정 투자, 교육 훈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